제 후기 차례가 아니긴 한데 그냥 또 몇 자 적어보고 싶어서 게시판도 활성화 시킬 겸^^ㅋㅋ 글 남겨 봅니다. 오늘 세미나 때 제 현재 정신 상태(?)를 임상 사례로 소개한다는 게 좀 부끄럽기도 하고 그랬는데 일단 말을 꺼내놓고 나니까 오히려 선생님들께 조언도 얻게 되고 저로서는 멋쩍으면서도 감사한 시간이었네요.

인문학을 공부하면서 우리에게 전혀 다른 미래가 가능하다는 사실을 깨달아가는 일이란, 자본 권력의 전략에 일방적으로 포섭되기를 거부하고, 대타자의 욕망을 나 자신의 욕망이라고 착각하지 않으며, 자기 소외의 상태로부터 벗어나 해방을 꿈꾸고 자유를 찾아가는 여정일 테죠. 이렇게 인문학이 주체로 하여금 환상을 가로지르도록, 그래서 증상을 재배치하도록 도와주는 분석가의 역할을 담당하는 것이야말로 인문학의 바람직한 역할일 거구요.

근데 세미나 도중에도 말씀드렸다시피 저 같은 경우에는 한편으로 인문학이 분석가가 아니라 대상a의 지위를 차지함으로써 오히려 현실을 직시하지 못하게 만들고 있는 상황은 아닐까 싶기도 합니다. 오늘 여러분들이 계속 아니라고 하는데도 제가 환상횡단을 자기계발 사례와 연관시켜볼 수 있다고 고집했던 건, 제 자신이 개인적으로 느끼고 있는 어떤 자괴감 때문이기도 했던 거 같아요.

저는 어쩌면 저에게 부여된 직업인라는 사회적 기표를 신경증적으로 자꾸만 거부하면서, 그러니까 사회적 책임감을 지닌 성숙한 어른이 되길 자꾸만 미루면서, ‘나 <> 라캉’, 혹은 ‘나 <> 인문학’과 같은 병리적인 환상의 구조 속을 헤매고 있는 것은 아닌가 싶은 겁니다. 만약 그렇다면 저에게 요구되는 주체의 윤리란, "어쩌다 보니까 인문학이 몹시 재밌더라구. 나를 변화시키는 이 공부를 계속 하고 싶더라구"라는 언술로부터 "솔직히 말하면 나는 직업인으로서의 사회적 직능에 충실해야 한다는 대타자의 목소리가 너무나 지겨워서 어떻게든 알리바이를 만들어서 도망쳐 보고자 일종의 현실도피로서 인문학에 빠져들었던 거였어"라는 언술로 옮겨가야 하는 것인지도 모릅니다.

저에게 인문학이 분석가의 지위를 차지하고 있는 것인지 아니면 대상a에 불과한지는 지금으로서는 명확히 알 수가 없겠죠. 제가 추구해야 할 환상횡단이 '인문학을 통해 다른 삶의 가능성을 꿈꾸고 자유를 상상하는 일'인지, 아니면 '인문학을 탐했던 게 지적 허영심에 의한 현실도피였다고 뼈아프게 시인하는 일'인지도 마찬가지로 지금으로서는 알 수가 없겠고요. 우리가 공부한 바에 따르면 언제나 의미는 사후에 소급적으로 구성되는 것이니까 한 십 년쯤 지나면 그때에야 비로소 알 수가 있을까요. 그렇담 십년 쯤 지난 뒤에 저는 오늘 세미나를 어떻게 회상하게 될까요. 주말마다 인문학 공부를 하러 다녔던 삼십대 초반의 저에 대해 스스로 어떻게 평가하게 될까요. 궁금한 일입니다.

무엇을 환상횡단이라고 말할 수 있을까, 하는 저의 물음에 오늘 M선생님이 '전제'가 중요한 것 같다고 하셨죠. '내가 무엇을 진심으로 욕망하고 있는가', '나의 진정한 욕망의 정체가 무엇인가' 하는 물음에 대한 답이 전제가 된다고요. 이 글 적는 중에도 계속 선생님 말씀을 곱씹어 생각하게 됩니다. 

댓글(1)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수양 2014-07-01 07:45   좋아요 0 | 댓글달기 | 수정 | 삭제 | URL
일 년이 지나 이 글을 다시 읽는다. 이제는 확실히 '나의 진정한 욕망의 정체가 무엇인지' 나 스스로 잘 알겠다. 모 아니면 도가 아니라, 나는 실은 둘 다를 원하고 있었던 것이다. 직업인으로서의 유능함과 인문학적 세계의 향유- 이 두 가지 모두를. 집중력과 밸런스가 필요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