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상학에서 더 나아간 논리철학자들은 실재에 괄호를 쳐버리고 오로지 논증 가능한 언어의 의미 속에서만 진리를 파악하려고 한다. 그러나 언어의 회로 속에서만 운신하겠다는 그런 태도야말로 철학적 소극주의가 아닐까. 새벽까지 우리의 밤잠을 설치게 만드는 건 미지의 실재다. 그것은 마치 신발 뒷굽에 달라붙은 껌처럼 집요하게 우리를 붙잡고 끝내 놓아주질 않는 것이다. 인류가 이룩한 위대한 예술적 성취의 적지 않은 부분은 실재에의 예감과 그에 대한 직관적 상상에 빚지고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리라.

 

창조와 영감의 원천이 되는 궁극의 관심사에 괄호를 쳐버린다는 것은 어쩌면 결벽을 가장한 철학의 자기억압인지도 모른다. 자신 없는 보류이며 딴청 피우기인지도. 결국 인간은 다시 또 그 괄호의 내용으로 회귀할 수밖에 없는 까닭이다. 말할 수 없는 것에 대해서는 침묵해야 하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도무지 침묵할 수가 없는 것이 인간의 숙명이 아닌가. 눈짓과 몸짓, 탄성과 비명을 통해서라도 우리는 어떻게든 체험한 것에 대해서 의미를 만들어 내려고 하니까 말이다.

 

모든 경계에는 꽃이 핀다던 함민복 시인의 말처럼 어딘가에 분명 종교와 예술과 철학이 긴장 속에서 조우하는 찬란한 점이지대가 있을 것 같다. 세 영역 모두를 아우르는 경이로운 인식의 접점이 있을 거라는 예감이 든다. (비록 철학의 영역 안에서는 변방에 해당하더라도) 인간의 기나긴 탐구의 여정이 당도해야 할 궁극의 장소는 거기가 아닐까 싶기도 하고. 기호학에서 출발한 라캉이 후기에 이르러 기호 세계 너머의 실재를 주목하게 된다는 점도 의미심장하게 느껴진다.

 

눈이 부셔 아무 것도 볼 수 없더라도, 하여 망설이며 우물거릴지언정 우리는 이마에 손그늘을 드리운 채 가늘게 뜬 눈으로 영원히 그곳을 향할 수밖에 없지 않을까. 이카로스처럼 우스꽝스럽게 추락할 지라도 우리는 결국. 하지만 각설은 이쯤에서 관두자. 정작 책 내용을 제대로 이해하지도 못했으면서 이렇게 딴생각만 모락모락 피워내는 게 이카로스보다 더 가엾은 일인가 싶으니. 어설프게 이해한 걸 가지고 썰을 푸는 이런 짓이야말로 얼치기로 가는 지름길인지도.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