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라캉의 주체 - 언어와 향유 사이에서
브루스 핑크 지음, 이성민 옮김 / 비(도서출판b) / 2010년 12월
평점 :
브루스 핑크는 구조주의 너머에 있는 '라캉의 주체'를 모색하기 위해 일단 라캉 이론에서 '구조의 층위'(기표 사슬의 자동적 작용의 층위)와 '원인 작용의 층위'를 구별한다. 그리고는 이 책 3장까지는 전자에 대해 철저히 살핌으로써 무의식을 설명하는 데 있어서 '주체를 위한 그 어떤 여지도 남겨놓지 않는' 궁극의 경지로 달려간다.
그렇다면 대체 주체의 자리는 어디인가, 주체적인 순간이란 과연 존재하는가, 하는 의문이 들 때쯤 저자는 '4장 라캉적 주체'로 넘어가 원인 작용의 층위를 주목하기 시작한다. 라캉은 프로이트가 상정한 무의식의 주체를 창조적으로 재해석함으로써 그의 슬로건 대로 '프로이트로 돌아간다'. 이 책 4장에서는 라캉이 프로이트를 어떻게 재해석하고 있으며 어떻게 '돌아가고' 있는지를 구체적으로 상술하고 있는데, 핵심을 추려 이해해보면,
프로이트의 무의식의 주체는 운동하지 않는다. 정태적이다. 반면, 라캉의 주체는 프로이트의 주체와 같은 상태에 도달하기 위하여 부단히 '맥동'한다. 애초에 라캉적 주체는 프로이트 식 주체가 뒤집힌 상태에서, 즉 (A∪B)-(A∩B)라고 하는, '존재하는 나'와 '사고하는 나'가 분리된 지점에서 출발하고 있기 때문이다. 결과적으로 프로이트 식 주체나 라캉 식 주체나 현상학적으로는 동일한 형태로 출현하고 인지되지만 실상 그 둘의 내막에는 차이가 있다.
비유를 들면, 조각상 VS 광선 입자의 부단한 운동으로 입체적 상이 맺히는 홀로그램. 혹은 석고로 뜬 구(球) VS 반원 모양의 종이가 축을 중심으로 빠르게 회전함으로써 구의 형태를 보여주는 경우. 이런 식의 차이로 이해해볼 수 있지 않을까. 즉, 라캉의 주체는 프로이트 식 주체와 달리 부단히 획득되어져야 하는 주체이고, 부단히 달성되어져야 하는 주체이고, 부단히 운동되어야지만 하는 주체이다. 현재진행형으로서의 주체.
5장에서는 ‘소외’와 ‘분리’, 그리고 ‘추가적인 분리’라는 이론적인 개념을 통해, '맥동'으로서 도래하는 라캉적 주체에 대해 보다 세밀하게 살피고 있다. 우선적으로 주체는 언어와 같은 상징 질서로 이루어진 무의식 속에서 소외와 분리를 겪는다.
- 소외: 상징계로의 강제된 진입 과정에서 어쩔 수 없이 발생한다. 한정된 선택지 가운데 어쩔 수 없이 그 중 하나를 선택할 수밖에 없는 과정에서 벌어지는 이 소외의 과정을 거치고 나면 주체는 텅 비어버리고 만다. 즉, 주체는 무수한 담화와 말들에 의해 ‘실존한다’. 하지만 근본적으로는 하나의 허울처럼, 그저 ‘자리-보유자’로서, ‘존재 없이’ 남아있는 꼴이 된다. 그러나 이러한 상태는 오히려 ‘존재의 순수한 가능성을 낳는다’. 왜냐하면 텅 빈 상태가 ‘있다’는 것, 결여의 ‘자리가 있다’는 것은 곧 그러한 공간의 존재론적인 가능성을 암시하기 때문이다.
- 분리: 상상적인 결합 상태로부터의 분리. 타자의 유일한 욕망의 대상이기를 원하지만 반드시 실패하고 마는 상태. 아이의 경우로 말하자면 엄마를 완벽하게 보충하려는, 그래서 엄마의 욕망의 공간을 완전히 독점하려는 시도의 불발. 기표와 기의로 말하자면 그 둘의 영원한 낭만적 합일이 불가능하고 언제나 미끄러짐과 어긋남이 발생하는 상황. 욕구와 요구 사이의 균열과 간극 속에서 욕망이 발생하듯이, ‘분리’로부터는 ‘덧없고 난포착적인 부류’의, ‘이것도 저것도 아닌’ 존재가 발생한다. (여기서 말하는 ‘존재’는 대상 a와의 은밀하고도 환상적인 공모관계를 이루고 있는 주이상스 상태의 그 ‘존재’를 말한다.)
- 제3항의 도입: 분리는 아버지의 이름이라고 은유되는 제3항의 도입과 함께 이루어진다. 라캉이 보기에 엄마-아이라는 이원적 상황은 잠재적으로 매우 위험한 상태인데, 제3항이 하나의 굄대로서 이 사이에서 기능함으로써 아이가 보호된다. 제3항이 도입되면 이제 어머니의 욕망은 아버지의 이름으로 정의되는 그 무엇이 된다. 즉, 어머니의 욕망이 기표로서 대체된다. 기표화된 어머니의 욕망은 이제 상징계적 질서 속에서 끝없는 변증법적 운동을 통해 존재하는, 영원히 전치가능한, 영원히 변신하고 영원히 달아나는 어떤 것이 된다.
제3항의 도입과 함께 분리된 주체는 "타자로부터 배제되었음에도 불구하고 그 잔여물/상기물에 달라붙음으로써 전체성의 환영을 유지"한다. 다시 말해 "주체는 대상 a에 달라붙음으로써 자신의 분열을 무시"하게 된다. 이 상태가 바로 “$ <> a”의 상태. 이것은 현실을 직시하지 않고 있는, 일종의 자기기만의 상태라고 할 수도 있지만, 동시에 대상a라는 환상적 보충물에 의해 욕망하는 존재로서 주체 자신이 존재 속에서 '지탱'되고 있는 상태이기도 하다. 이 상태에서 주체는 문자 이후의(제3항이 도입된 이후니까) 주이상스 J2를 체험한다. “분리에 의해 가능해진 환상을 통해서만 주체는 라캉이 ‘존재’라고 부는 것의 한 모금을 자기 자신에게 조달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러나 $<>a에서 맛보는 주이상스는 일시적이다. 영속적일 수 없다. ‘분리’는 ‘환상 가로지르기’라는 추가적 분리가 일어남으로써 완성되기 때문이다. 추가적 분리라는 것은 정신분석 과정에서는 치료의 목표이자 종결지점이기도 하다. 즉, 분석가는 $<>a라는 병리적인 상태를 헤매고 있는 분석자의 환상의 배치를 뒤흔들어놓고, 그럼으로써 주체가 욕망의 원인(대상a)과 맺고 있었던 기존의 관계를 파열시키고, 관계를 새롭게 변경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추가적 분리는 분열된 주체($)가 원인의 자리(a)를 떠맡게 됨으로써 외상적 원인을 주체화하는 과정이다. a를 수용하기. a를 나의 것으로 내면화하기. 어떤 식의 책임지기. 인정하기. 받아들이기. 이러한 추가적 분리로 인해 비로소 “욕망하는 주체”가 탄생한다. (‘그런 일이 내게 어쩌다 일어났어’, ‘그들이 내게 이런 일을 했어’, ‘그 일은 운명처럼 닥쳐왔어’ 등등의 언술로부터 ‘나였어’, ‘내가 했어’, ‘내가 보았어’ 등등의 언술로의 전환)
“이 추가적 분리는 자기 자신의 원인이 되려는, 원인의 자리에서 주체로서 존재하게 되려는 주체의 시간적으로 역설적인 움직임에 있다. 외래적 원인, 주체를 세계에 데리고 온 저 타자적 욕망은 어떤 의미에서 내면화되고, 책임져지고, 떠맡아지고, 주체화되고, 자기 자신의 것이 된다.” -p.127
참으로 아프고 힘겹고 눈물겨운, 그러나 가슴깊이 뭉클한 성숙의 과정이자 극적인 내적 도약의 순간일 것이다. 그런데, 추가적 분리=환상의 횡단=$가 a자리로 건너간다는 것, 그러니까 외상적 원인을 주체화하고 거기에 책임을 지는 이러한 일련의 작용은 지극히 역설적이며, 사실상 주체로서는 다소 억울할 수도 있는 일이다. 왜냐하면, 외상의 계기들에 대하여 주체가 책임을 져야 하는 어떤 주체적 연루가 있었는가 하는 물음을 던져볼 때, 주체적 연루는 언제나 사후에 발생되는 것처럼, 그러니까 의미론적 맥락에 의해 소급적으로 그 연루과정이 구성되는 것처럼 보이기 때문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것이 내 책임이라고 말해야 한다는 것. 그것이 바로 주체의 윤리이며 주체화의 필연적인 과정이라는 것. 뭔가 복잡한 상념에 잠기게 되는 결론이 아닐 수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