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적군파 - 내부 폭력의 사회심리학
퍼트리샤 스테인호프 지음, 임정은 옮김 / 교양인 / 2013년 1월
평점 :
절판
1971년 겨울, 일본에서 어느 급진 좌파 학생들이 경찰의 추적을 피해 산속으로 숨어 들어가 비밀 기지를 꾸린다. 이후 두 달 동안 일어난 일은 끔찍했다. 조직원 열두 명이 동료들의 손에 참혹하게 죽임을 당한 것. 권력 다툼도, 치정극 때문도 아니었다. 혁명가로서의 의식을 고양시키고 정신력을 강화한다는 명목으로 신체를 학대하는 과정에서 벌어진 일이었다. 그들은 생활 태도가 불량하게 느껴지거나 공동작업에서 실수를 한 동료를 골라내어 영하의 추위에 세워놓고, 밥을 안 주고, 집단 구타하는 식으로 차례차례 죽여 나갔다.
“진정한 혁명가는 아무리 혹독한 상황에 놓여도 죽음에 굴복하지 않고 극복할 수 있기 때문에” 조직원들은 동료의 죽음을 ‘패배사’로 규정했으며, 나약함을 극복하지 못하고 죽어버린 동료를 진심으로 안타까워하며 땅에 묻었다. 희생자 중 누군가는 자신의 나약함을 반성하며 죽여 달라고 애원하여 죽임을 당하기도 했다. 지도부는 살인에 대한 죄책감 때문이 아니라, 부하들을 제대로 정신무장 시키지 못했다는 죄책감으로 괴로워했다. 구타에 참여한 조직원들은 “폭력에 참가하는 것을 죄스럽게 여기면서도 동시에 죄책감 자체를 뛰어넘어야 할 자신의 정신적인 나약함”으로 여겼다.
어떻게 이런 일이 일어날 수 있었을까. 아무리 이데올로기에 경도되었다고 하나 학생운동조직 멤버들은 대부분 중산층 출신의 고학력자 젊은이들이었으며, 논리적으로 사고할 줄 알고 자기 반성 능력도 뛰어난, 지극히 평범한 정상인들이었다. 심지어 조직의 우두머리는 사건 이후 감옥에서 다음과 같은 자기 비판을 하기도 한다. “나는 내가 광기의 세계에 있었던 것이 사실이라고 보며 내가 그런 세계를 만들었다고 생각하고 있다. 그러나 이성을 잃을 만큼 사리 분별을 못하게 된 상태였다거나 상황을 판단할 능력을 잃어버렸다고 생각하지는 않는다. 오히려 너무 많은 것을 생각하고 판단하고 처리했던 것이다.”
이성이란 사리에 치우침이 없는 것이기 때문에 보편적인 협조를 만들어낼 수 있지만, 비이성이란 사적인 열정을 대표하기 때문에 불가피하게 불화를 빚어낸다. 보편적이고 공정한 진리의 기준에 호소한다는 의미에서 합리성이야말로 인간 종족의 안녕에 으뜸가는 요소라고 보는 이유도 바로 여기에 있다. 이러한 시각은 합리성이 쉽게 승리할 수 있는 시대에는 물론이고, 합리성이란 자신이 동조할 수 없는 부분에서 살인으로 해결해버릴 만한 배짱도 없는 사람들의 헛된 꿈에 불과하다며 합리성을 경시하고 거절하는 불행한 시대에는 더더욱 지당하다. -버트런드 러셀, <게으름에 대한 찬양> 中에서
이 책을 읽고 나면 러셀의 이런 말도 도무지 허튼 망언처럼 들리고 만다. 숙청은 결코 우발적으로 행해진 광기의 잔치가 아니었다. 그것은 집단구성원들의 민주적인 결정에 의해 이성적이고 합리적으로 진행된 사건이었다. 급박했던 당시 상황 속에서 숙청이 하나의 기이한 유행으로 자리잡게 된 심리적 메커니즘 역시 어떤 고유의 '맥락'을 가지고 있는 듯이 보인다. 폐쇄 사회 안에서 배출되지 못하고 쌓여가는 공격적인 에너지가 바야흐로 임계점에 육박했을 때, 그것을 어떻게든 내부적으로 소진시키기 위해 자연발생적으로 융성하게 된 집단적 향유의 극단적 형식이 곧 숙청이었다고 해석해 볼 수 있지 않을까.
과연 이성은 무엇이고 비이성은 무엇이며 그 둘을 가르는 기준은 무엇일까. 이성과 비이성이란 차라리 뫼비우스의 띠의 안팎과도 같은 것이라고 해야 하지 않을까. 정교한 논리 회로를 따라가서 끝내 비이성의 문을 열고 나오는 일이야말로 인류가 반복하는 영원한 희비극이 아닐지. 저자의 말대로 이 사건에 대해 평가할 수 있는 것은 "단지 어떤 사람이 헤엄을 치다 너무 멀리까지 가버렸다는 것" 뿐이다. 그러나 이 '멀리'라고 하는 공간적 간격 역시 따지고 보면 주관적인 기준점으로부터 상정되는 지극히 상대적인 개념이 아닌가.
그렇다면 이렇게도 말해볼 수 있겠다. 어쩌면 신체 학대와 고문과 살인을 인간이 저지를 수 있는 더없이 끔찍한 최악의 행위로 파악하는 현대사회야말로 ‘헤엄을 치다 너무 멀리까지 가버린’ 상태인지 모른다고. 연합적군 사건을 비극적으로 받아들이는 정서적 반응이야말로 유사 이래 전무후무할 만큼 극도로 생명을 중시하는 기이한 휴머니즘 문화의 산물일 수도 있다고. 궤변인가. 하지만 무엇이 비이성인가. 무엇이 광기이며 무엇이 비극인가. 대체 우리는 어디까지 온 걸까. 어디쯤에서 헤엄치고 있는 걸까. 모른다. 아무도 모른다. 다만 우리는 오늘도 열심히 최선을 다해 헤엄을 칠 뿐이다. 적군파처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