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존주의자로 사는 법
게리 콕스 지음, 지여울 옮김 / 황소걸음 / 2012년 10월
평점 :
구판절판


보급형 실존주의 안내서라고 해야 할까. 가볍지도 무겁지도 않은, 깔끔하고 예쁜 책이다. 책 읽고 격앙되어 하는 말인지도 모르지만 그럼에도 역시, 실존주의를 구닥다리로 만드는 오래된 공격적 질문-인간에게 과연 자유의지가 존재하는가 하는-에는 전혀 주눅들 필요가 없겠다는 생각이 든다. 거대한 철학사적 흐름 속에서는 유의미한 화두일지라도 개인의 생을 개척해 나가는 데 있어서는 불필요한 질문이다. 차라리 그런 질문에는 망설임 없이 괄호를 쳐버리는 게 낫겠다. 중요한 건, 마치 인간에게 '자유가 존재하는 듯이' 살아가야 한다는 거 아닐까. 부단한 제스처와 끊임없는 추구만이 자유라고 하는 관념의 현실태를 만들어낼 것이다.


신을 믿는 사람이 믿지 않는 사람보다 이득을 볼 확률이 더 높기 때문에 신을 믿는 편이 낫다는 파스칼의 논증도 떠오른다. 인간의 자유의지 역시 유용성의 문제로 파악해볼 수 있을 것 같다. 나의 생명활동을 북돋워주는 믿음에 대해 구태여 회의할 필요가 없는 것이다. 니체의 계보학적 분석에 따르면 인간의 삶에 유용하고 이로운 것들이 최종적으로 도덕이 된다 하니 그렇담 자유의지도 마찬가지겠다. 자유도 결국은 윤리의 문제인 것이다. 그런 게 있건 없건 상관없이, 윤리적 행동강령으로서 마치 그런 게 있는 듯이 살아가야 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라는 불굴의 접속사를 마법의 주문처럼 되뇌면서. 이보다 더 강력한 반전이, 이보다 더 숭고한 기만이 또 있을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