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캉의 주체 - 언어와 향유 사이에서
브루스 핑크 지음, 이성민 옮김 / 비(도서출판b) / 2010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⓵ 1 다음엔 3이 올 수 없다.
⓶ 2 다음엔 1,2,3 다 올 수 있다.
⓷ 3 다음엔 1이 올 수 없다.

 

동전던지기 놀이(48)에서 발견되는 규칙성(=동일성=구조적 질서=파괴불가능한 정체성)이 위와 같다면, <도둑맞은 편지>에서 발견되는 규칙은 아래와 같다. (숀 호머, <라캉 읽기> 참고)

 ⓵ 1항에 놓이는 인물은 상황을 전체적으로 보고는 있지만 전혀 그 상황을 파악하지 못한다. 따라서 무능하게도 편지의 흐름에는 전혀 개입할 수 없게 된다. 편지놀이에 참여하지 못하고 그저 배경으로만 존재하는 실재적 위치.
⓶ 2항의 주체는 편지와 자기애적인 관계를 가지는 상상계적 위치에 놓인다. 행동이 제약되어 편지를 일시적으로 소유하지만 끝내 빼앗긴다.
⓷ 3항에 놓이는 인물은 전체적인 상황 속에서 자신을 비롯한 각각의 인물들이 저마다 처해있는 사정을 잘 파악하고 있으며 또한 능동적으로 편지놀이에 뛰어들어 행동할 수 있는 상징계적 위치를 점한다. 편지를 빼앗아 2항으로 이동한다.

 

자리 배치는 편지에 의해서 결정된다. 예를 들어 편지가 여왕에게 머물러 있을 때는 왕이 실재(reality)적 위치, 장관이 상징계적 위치를 점유하게 되고, 편지가 장관에게 머물러 있을 때는 경찰이 실재적 위치, 뒤팽이 상징계적 위치를 점유하게 된다. 결국, 편지는 사람들의 역할을 지정하고(주체화하고), 사람들의 관계를 구조화하고 정렬한다. 사람들은 편지에 의해 비로소 변별적 위치를 부여받고 주체로서 태어나고 규정되고 형성된다. 그런가 하면 편지는 주체들의 관계를 조종하면서 끊임없이 이동한다. 편지가 이동하는 동안 사람들은 편지에 의해 이용되고, 편지의 놀이감이 되고, 편지에 놀아난다. 마치 언어에 의해서 또한 무의식에 의해서 우리가 그러한 것처럼.

 

언어가 인접성에 의하여 결합관계를 맺고 이어져 나가듯이, 또한 동전던지기 놀이에서 일정한 규칙에 의해 1 2 3 사슬이 이어져 나가듯이, 편지 역시 일정한 규칙과 질서에 따라 각각의 등장인물들을 순차적으로 포획함으로써 의미작용의 연쇄를 만들어낸다. 편지가 일시적으로 닻을 내린 경로에 따라서 여왕-장관-뒤팽-경찰-여왕이라는 통사적 연결 사슬의 생성. 그 결과 <도둑맞은 편지>라는 하나의 독창적인 이야기가 만들어짐(=의미화가 이루어짐).

 

통사론적 규칙에 의해 ‘우리는 내일 파리를 떠날’ 다음에 ‘것이다’를 예측할 수 있는 것처럼, <장면 1>에서 장관의 위치를 근거로 <장면 2>에서 장관의 위치를 예측할 수 있다. 또한, 동전놀이에서의 “수 사슬들이 수들의 행로를 보존”하는 것처럼(52), 도둑맞은 편지에서도 여왕에서 장관으로, 장관에서 뒤팽으로 이어지는 일련의 행로가 보존된다. 즉, 여왕-장관-뒤팽 등의 이어짐은 무작위적인 조합이 아니라, 정교한 규칙에 의해서 행로를 그리고 있는 연결인 것이다. 편지는 여왕-장관-뒤팽-경찰-여왕이라는 행로의 보존 속에서 장관을 “기억한다”. 왜냐하면 편지의 정체성은 바로 ‘여왕-장관-뒤팽-경찰-여왕’이라는 행로로서만 설명될 수 있기 때문이다. (편지 자체의 내용과는 무관하게)

 

무의식은, 실로 자율적이고 자동적인 방식으로 작동하는 ‘문자들’로 구성되는 바, 잊을 수 없다. 무의식은 과거에 무의식에 영향을 미쳤던 그 무엇을 현재 속에 보존한다. 개개의 모든 요소를 영원히 붙잡고 있으면서, 그것들 모두에 의해 영원히 표식된 채로 말이다. -p.53

 

이 말을 <도둑맞은 편지>에 적용해볼 수 있을 것이다. 즉, 편지의 정체성은 “실로 자율적이고 자동적인 방식으로 작동하는 ‘등장인물들’로 구성되는 바, (편지는 자신이 일시적으로 소유했던 등장인물들을) 잊을 수 없다.” 여왕-장관-뒤팽-경찰-여왕이라는 고유의 이동경로로서 제 정체성을 확립한 편지가 자신을 이루는 사슬의 일부로서 장관을 기억하는 것이다. 다시 말해 “편지는 과거에 편지와 인연을 맺었던 인물들을 (편지의 정체성을 구성하기 위해) 현재 속에 보존한다.” “편지는 개개의 모든 등장인물들을 영원히 붙잡고 있으면서, 그것들 모두에 의해 영원히 표식된 채”로서 자신을 규정한다.

 

‘무의식은 타자의 담론’이라는 라캉의 명제 역시 <도둑맞은 편지>에서 확인해볼 수 있다. 편지를 규정함에 있어서 편지 안에 적힌 내용은 무용할 뿐만 아니라 무의미하다. 무의식이 타자의 담론인 것처럼, 편지 역시 오로지 여왕과 장관과 뒤팽과 경찰 등의 타자들에 의해서만, 타자들의 연쇄적 조합이 만들어내는 이야기에 의해서만 설명된다. 즉, ‘그 편지가 무슨 편지냐’ 하고 물었을 때, 그 편지는 ‘이러이러한 내용이 적힌 편지’가 아니라, ‘여왕에서 장관으로, 장관에서 뒤팽으로, 뒤팽에서 경찰을 거쳐 다시 여왕의 손으로 옮겨 다닌 편지’다.

 

*


라캉이 프로이트와 구별되는 점은, 그가 환자 증상을 분석하는 데 있어서 애당초 “진정한 이해”(증상의 진실, 진리)라는 것을 상정하지 않은 점이다. 사실 라캉한테는 도라의 히스테리 증상이 성적인 억압 때문이든 무엇 때문이든 별 상관이 없다. 라캉한테는 그런 걸 밝히는 게 의미 없고 중요치도 않다. 라캉의 관심사는 도라가 주변인들에게 어떤 의도를 가지고 그런 히스테리적 행동을 하는지, 도라와 도라의 주변인들이 만들어내는 총체적 상황 속에서 도라의 히스테리 증상이 관철하고자 하는 의도를 밝혀내는 것이다. 즉, 인물들이 만들어내는 상징계적 질서 속에서 증상의 논리와 맥락을 찾아내는 것. 환자의 독특한 상상 속에서 전개되는 '사물들의 질서'를 파악하는 것. 이러한 라캉의 정신 분석 작업의 최종 목표는, 의미작용이 끊임없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환자의 무의식 속에서 발생한 어떤 결빙현상을 풀어주는 데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