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인간적인 너무나 인간적인 1 ㅣ 책세상 니체전집 7
프리드리히 니체 지음, 김미기 옮김 / 책세상 / 2001년 5월
평점 :
동정을 유발하는 심리에 대해서 니체는 이렇게 말한다. “능란하게 호소하고 흐느끼며 불행함을 과시하는 것이 결국 함께 있는 사람을 괴롭히기 위한 것은 아닌지 물어볼 필요가 있다.” 니체의 해석에 따르면, 약자는 자신의 불행이 주위의 동정을 불러일으키는 현상을 보면서 제 영향력을 자각하고, 자신이 “강자를 괴롭힐 수 있는 힘”을 지니고 있다는 사실에 쾌감을 느낀다. 불행을 전시하는 이면에는 동정을 받기 위한 열망이 있으며, 그러한 열망은 곧 자신이 지닌 힘을 확인하려는, 즉 자기만족을 얻기 위한 열망이라는 것. 더군다나 그것은 이웃의 기운을 빠지게 하고 괴롭게 만드는 희생을 전제로 한다는 것.
약자가 동정심을 유발함으로써 강자를 괴롭혀 자신의 힘을 만끽한다면, 강자는 사교를 통해서 자신의 힘을 드러내고 쾌감을 얻는다. 아마도 여기서 니체가 말하는 사교란 격렬한 논쟁이 벌어지는 토론의 장을 이야기하는 듯하다. 토론의 장에서 강자가 상대에게 갖는 호의란 전투적인 호의다. 전투적인 호의 속에서 상대에게 모멸감을 주고 괴롭힘으로서 서로가 서로에게 자극을 받고 즐거워한다. 약자의 경우든 강자의 경우든 방식만 달랐다 뿐이지 타인을 괴롭힘으로써 자신의 힘과 존재감을 확인하려 한다는 점은 다를 바가 없다. 이러한 잔혹한 “치부”에 대해서 니체는 “악한 일을 한다는 쾌감 때문에 악한 일을 하는 것보다 더 일반적인 것은 없다”고 말한다.
니체의 심리분석은 매력적이다. 읽는 이를 솔깃하게 만든다. 그러나 이 또한 하나의 해석에 불과할 뿐, 니체가 전적으로 옳다고 할 수는 없을 것이다. (사실 니체는 거의 항상 부분적으로만 옳다.) 과연 자신의 불행을 전시하는 약자의 심리가 꼭 강자를 괴롭히기 위해서일까. 동정을 유발하고 어두운 정서를 전염시킴으로서 자신의 힘을 자각하기 위해서일까. 글쎄, 니체는 아마도 조응(혹은 감응)이라는 단어에 대해서 잘 모르는 것 같다. 조응이라는 말을 몰라서 고작 전염이라는 어휘밖에 사용할 줄 모르는 것 같다. 그리고 그것이 그의 맹점이자 무능인 것 같다.
괴롭히고 대결하고 투쟁하고 정복하는, 그 모든 엎치락뒤치락하는 즐거운 악의들만이 세계의 힘이 발휘되는 방식의 전부는 아닐 것이다. 바람의 방향에 맞추어 갈대가 몸을 누이는 것은 그리스적 호전성 때문이 아니라 조응을 통한 마음 속 깊은 연대에 따른 것이 아닐까. 조응과 교감, 번짐과 확산, 연대와 어우러짐 역시 힘들이 발휘되는 또 하나의 즐거운 방식이 아닐지. 그렇게 본다면, 약자가 불행을 전시하고 동정을 구하려 하는 것은 심연의 연대를 통해 힘을 증강시키려는 몸짓으로 읽을 수도 있을 것이다. 조응과 연대는, 전염도 괴롭힘도 아니다. 서로 간의 경계를 허물어 접합함으로서 힘을 증강시키는 방식이다.
내 생각이 궤변이라면 니체도 못지않다. 니체의 철학은 호전적이지만, 사실 그보다 더 호전적인 것은, 그의 사상이 나에게 다가오는 방식이다. 싸워보고 싶게 만든다. 들어보면 마냥 대단하고 탁월한 소리만 하는 게 아니라, 뭔가 수긍이 안 가는 헛소리도 많이 하기 때문에. 허풍인지 심오함인지 알 수가 없기 때문에. 현자의 목소리 같으면서도 광대의 목소리 같기 때문에. 그 경계가 모호하므로 싸워보고 싶게 만든다. 내가 지금 쓴 독후감처럼, 되지도 않는 시비라도 걸어보고 싶게 만든다. 열광하면서도 전적으로 신뢰할 수는 없고, 받들고 싶으면서도 한편으로는 대들고 싶게 만드는 사람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