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의 이면 (보급판 문고본)
이승우 지음 / 문이당 / 2008년 5월
평점 :
품절


<생의 이면>은 자전소설이다. 작가가 자신의 유년을 들추기 위해 얼마나 고통스러워했는지는 서문에서 짐작이 간다. "실패를 예감하면서도 써야 하는 글이 있다. 실패에 대한 예감 없이는 쓸 수 없는 글, 자꾸만 연막을 치고 안개를 피우고 변죽을 울리고, 그러다 독백에 그치고 마는, 으레 그럴 줄 알면서도 부쩍 허약해진 소설을 끝끝내 붙잡고 있는 사람이 한 고비를 넘어가는 심정으로 감당해야 하는, 그런 글..." 이 고백이 유난히 따갑고 시린 것은, (내가 알기로) 평소 이 작가가 사변에 빠지면 빠졌지 감상에 빠지는 류의 사람은 아니기 때문이다.

 

결국, 작가는 소설 속에서조차 '나'가 되지 못한다. 심지어는 '그'도 되지 못하고, '그가 쓴 소설 속의 인물'로서 존재할 뿐이다. 결벽에 가까운 자기객관화의 의지를 보여주는 설정이라고 한다면 지나친 해석일까. 여하튼 최대한 함부로 발설하지 않기 위해 이런 완곡한 설정을 한 것도 모자라, 작가는 끝내 여지를 남겨둠으로써 소설을 완성한다. 소설은 이렇게 끝나고 있다. "(...) 지금까지 그의 글쓰기는 감춰진 것의 드러내기이다. 그 드러내기는 그러나 감추기보다 더 교묘하다. 그것은 전략적인 드러냄이다. 말을 바꾸면 그는 감추기 위해서 드러낸다. 그가 읽은 대부분의 신화들이 그러한 것처럼."

 

말하고자 하는 욕망과 숨기려 하는 욕망, 펼쳐내려는 욕망과 묻어두려는 욕망이 서로 머리채를 움켜쥐고 사투를 벌이는 이 처절한 격전지를 작가는 ‘수렁’으로 비유했다. <생의 이면>은 그 수렁으로부터 빠져나오기 위해 작가가 토해낸, 흡사 천식환자의 기침소리 같은 소설이다. 이야기는 이렇게 완성되었고, 작가는 이제 하나의 고비를 넘겼다. 그러나 고비를 넘긴 그가 만신창이가 되었을 것을 생각하니 나는 또 아프다. 이 소설만큼이나 아프고 먹먹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