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존주의는 휴머니즘이다
장 폴 사르트르 지음, 박정태 옮김 / 이학사 / 2008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눈물이 날 것 같다고, 서슴없이 쓴다. 그 모든 냉정하고 명철한 비관에도 불구하고 돌아보면 사르트르는 여전히 우리 곁에 있는 것이다. 실존은 본질에 앞선다. 흙먼지를 일으키며 다시 쳐들어오는 장수처럼, 이 명제는 끝내 패배하지 않을 것이다. 그 자체로 시지푸스와도 같은 운동을 계속 할 것이다.

 

세계의 지평을 인식하고 윤곽을 가늠하기 위한 인간의 모든 노력이 비록 우리 자신의 미소함을, 비루함을, 부자유를, 출구 없음을 처절하게 증명하는 일이 되더라도 이 무용한 탐구는 계속되어야 한다고, 믿는다. 희망 없이 나아가야 한다고, 그것만이 인간으로서의 위엄을 유지하는 일인 동시에 또 가장 인간다운 일이라고, 여전히 믿는다. 실존주의를 과연 한때의 유행이었다고, 사르트르를 철 지난 철학자라고 감히 말할 수 있을까. 아니, 애초에 실존주의를 철학 사조라고 할 수 있을까. 아니다. 실존주의는 그저 인간이 인간으로서 살아가기 위한 기본 준칙이며 행동 강령이다.  

 

쉽게 흥분하고 들썽대는 내 가벼운 천성 덕분에 책을 덮고 마음이 동해 모처럼 책장을 정리했다. 앙드레 지드, 키에르 케고르, 하이데거, 사르트르, 까뮈들을 이곳저곳에서 빼내어 양지바른 곳에 한데 모아두었다. 보기 좋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