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나중에 온 이 사람에게도 - 경제학 최대의 변수는 '애정'이다, 개정판
존 러스킨 지음, 김석희 옮김 / 열린책들 / 2009년 11월
평점 :
품절
러스킨은 ‘애정’이 “평범한 경제학자의 계산을 모조리 무효로 만들어버리는 이상한 힘”(61)인 동시에 인간의 경제활동의 진정한 동력이라고 얘기한다. 또한 그는 “경제의 궤도를 혼란시키는 불온한 힘이 아니라 일관된 지배력”(41)으로서 정직에 대해 강조하기도 한다. 러스킨에게 정직이란 부의 획득을 위한 사회의 기본적인 도덕 조건이기도 했다. 애정과 정의에 대한 러스킨의 이러한 생각은 연민과 애정으로서의 ‘인’과 도덕과 정의로서의 ‘의’를 강조했던 맹자의 인의사상과도 퍽 닮아있다.
이 책 곳곳에서 러스킨은 확실히 이상주의적인 유교 사상가 같은 면모를 보여준다. “군인의 직업이 국민을 수호하는 것이고 목사의 직업이 국민을 가르치는 것이며 (...) 상인의 직분이 국민에게 물자를 공급하는 것”(77)이라고 말하는 대목에서는 사람이 마땅히 지켜야 할 도리로서 ‘인’을 강조한 공자가 떠오르며, “한 개인의 손에 있는 부가 다수의 사람에게 미치는 지배력을 줄이고, 사람들의 연쇄를 통하여 그 힘을 널리 분배”(135)해야 한다고 주장하는 부분에서는 상업을 엄격히 제한하여 과도한 독점자본의 형성을 막았던 유교식 산업정책이 연상되기도 한다. 아마도 그는 상호부조와 호혜 경제에 기반을 둔, 정치적으로는 왕도정치가 행해지는 유교적 이상에 근접한 사회를 꿈꾸지 않았을까 싶기도 하다. (러스킨은 아나키스트 계열은 아니었다. 이 책에서 그는 인간의 불평등을 당연하게 여기며 통치의 필요성을 강조하고 있는데, 이 점은 “정부와 협력은 모든 사물에서 생명의 법칙이고, 무정부와 경쟁은 죽음의 법칙이다”(144)라는 언급에서 잘 드러난다.)
이 책에서 러스킨은 고용주와 고용인의 사이를 단순히 그리고 일방적으로 적대관계로 환원해버려서는 안 된다고 주장하는 한편으로, “노동에 대한 최초의 정의에서 <자기 생각을 특정한 일에 사용하는 것과 관련된 모든 불쾌한 감정>을 노동의 개념 속에 포함시킨”(130) 존 스튜어트 밀의 견해에도 확고하게 반대 입장을 취한다. 러스킨은 노동에 대한 밀의 정의에서 왜 ‘불쾌한 감정’은 포함되고 ‘유쾌한 감정’은 포함되지 않았는지 물으면서, 노동을 방해하는 감정이 노동을 촉진하는 감정보다 더 본질적으로 노동의 일부라고 생각할 수는 없다고 반박한다. 이어서 그는 불쾌한 감정에 의한 노동의 경우 노동자는 단순히 배상을 받을 뿐이지만, 유쾌한 감정에 의한 노동의 경우에 노동자는 일의 교환가치 가운데 일부를 생산하는 동시에 가치의 실제 분량도 현저히 증가시킨다고 말한다.
유쾌한 감정이란 러스킨의 맥락에 따르면 사회적 애정에서 기인하는 것이겠다. 그가 유교 사상가들과 차이를 보이는 점이라면 이렇게 애정을 대단히 실리적인 관점에서 바라보면서 생산력을 향상시키는 하나의 동력으로서 파악하고 있다는 점이다. 그러나 생산력을 향상시키는 동력으로서의 애정이란, 뒤집어 얘기하면 애정이 곧 비-경제적 요소임에도 불구하고 착취가 가능한 잉여 자원이라는 얘기가 아닐까. 노동자가 ‘유쾌한 감정’을 발휘하여 이루어낸 가치의 현저한 증가분은 어디까지나 결국 맑스가 말한 상대이윤으로 환원되어버리고 마는 종류이기 때문이다.
자본주의 경제체제에서 ‘애정’은 확실히 경제학의 변칙적 요소이다. 그러나 이것은 어떤 면에선 러스킨의 맥락과는 전혀 다른 의미에서 변칙적이다. 이 시대의 애정이란, 체제가 자신의 약점을 보완하거나(ex. 공동체적 애정과 유대를 기반으로 한 호혜경제가 시장경제의 모순을 완화시켜주는 버퍼로 기능하고 있는 개도국의 경제 메커니즘) 작동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활용 또는 착취하는 체제 외부적 요소로서, 이미 이데올로기적으로 충분하게 강요되고 있는 정서인지 모른다.
우리는 이미 그 어떤 지난날보다도 더할 나위 없이 다정하고 상냥하지 않은가. 고객님을 향한 사랑이 이토록 뜨거웠던 시절이 또 있었나. 애정 표현이 나날이 격렬해지는데도 왜 고객님은 성질이 점점 더 사나워지고 우리는 갈수록 피곤할까. 어쩌면 우리는 경제학에서 애정의 문제를 사고할 것이 아니라, 변칙적인 요소인 애정마저 경제학의 빈틈을 메우는데 소용되고 있는 체제 자체의 문제를 사고해야 하지 않을까. 그 편이 좀 더 '정직'하고 도의적인 고민이 아닐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