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마추어 댄서들의 수명은 짧다. 5년 전에 플로어를 가득 메웠던 사람들 중에 지금 남아있는 사람은 얼마나 될까. 아마 1%도 안 될 거다. 인체 장기조직의 세포재생주기가 6개월 정도라고 하는데, 그렇담 춤판의 재생 주기는 대략 2년 정도 되는 것 같다. 그 정도를 주기로 해서 구성원의 대부분이 매번 새롭게 바뀐다. 그래서 춤판에서는 얇고 넓은 인간 관계는 쉬운 반면 깊은 사귐은 무척 어렵다. 춤판에 오래 있다보면 사람들과의 헤어짐에 대해서도 쿨해지게 된다. 좋게 말하면 의연해지는 것이고, 나쁘게 말하면 냉정해지는 것인지도 모른다.

 

춤판에 오래도록 눌러앉은 소수의 사람들은 소위 말하는 고수급들이다. 춤판의 생리를 꿰고 있는 그들은, 그 생리에 어떻게 편승해야 하는지 역시 잘 알고 있다. 그들은 부단히 강좌를 열어 춤판 인구를 증식시키고 그 대가로 돈을 벌거나 명성을 얻는다. 그러나 그들도 언젠가는 하나 둘 사라질 것이다. 세월이 지나도 변함없는 것은 오로지 윤기나는 플로어와 흐르는 음악, 에너지와 열기다. 춤판은 늘 사람들로 북적이지만, 정작 사람 외의 것들만이 유구하다는 사실이 가끔은 진정으로 경이롭게 느껴진다. 온갖 소문과 스캔들로 무성한 사교계의 찬란한 덧없음을 상대적으로 실감하게 되기도 하고.

 

춤판에 발을 디딘지는 5년이 지났지만 춤을 끊었다고 할 수도 없고 여전히 춘다고 할 수도 없는 미지근한 상태로 지낸 시절이 춤인생의 대부분이었던 나는 당연히 아직도 고수가 되지 못했다. 하수는 아닌 것 같지만, 고수를 향해 한 걸음씩 나아가는 중수라고도 할 수 없을 것이다. 몇 년 째 늘지 않는 실력으로, 패턴이 가물거릴 때 쯤 되어서야 간간이 춤추러 가는, 그러나 결코 춤을 완전히 끊지는 못하는, 하수도 중수도 고수도 아닌 내 처지는 뭘까. 어쩌면 춤판에서의 나는 이미 개체로서의 수명이 다해 진즉에 사라졌어야 할 몸인데, 미련 때문에 아직도 유령처럼 플로어를 떠돌고 있는 신세 같기도 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