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루 세 끼가 내 몸을 망친다
이시하라 유미 지음, 황미숙 옮김 / 살림Life / 2008년 10월
평점 :
절판


1 과식은 면역력도 떨어뜨린다. 과식하게 되면 음식물의 영양소가 위장에서 혈액으로 흡수되어 혈중 영양상태가 좋아지는데, 이렇게 되면 백혈구도 영양소를 잔뜩 먹어서 배부른 상태가 되므로 더 이상 미균이나 알레르겐이나 암세포를 잡아먹으려고 하지 않는다. 반대로 공복일 때는 혈중 영양상태가 좋지 않아 허기진 백혈구가 미균이나 알레르겐, 암세포를 열심히 잡아먹게 된다. 흔히 몸이 안 좋을 때 입맛이 떨어지는 까닭도 우리 몸이 백혈구의 활동을 활발하게 해서 면역력을 높이려고 하는 자연스런 현상인 것.

2 과식이 계속되면 노폐물의 배설 속도보다 영양분이 흡수되는 속도가 더 빨라져 혈중에 노폐물이 쌓이게 된다. 노폐물은 결석이 되기도 하고 혈관에 침착하기도 한다. 혈중에 노폐물이 많아서 오염된 혈액을 제거하는 방법으로 고대로부터 거머리를 이용한 사혈요법이 널리 쓰였는데, 이는 일부러 출혈을 하게 해서 혈액을 정화시키는 방법이다. 서양 의술과 달리 한방에서는 혈액이 진득해져 혈전이 생기거나 반대로 혈액이 응고되지 않는 증상 모두 혈액의 오염 때문이라고 보아 두 증상 모두 사혈요법으로 치료한다고. (그렇다면 헌혈하는 것도 일종의 사혈요법이라고 볼 수 있지 않을까.)

3 몸속에 수분이 너무 많아도 독이 된다. 한방에서는 배설되어야 할 수분이 정체되어 발생하는 증세를 '수독증상'이라 한다고. 한의학에서 수독증상으로 분류되는 질병은 양의학에서보다 훨씬 더 포괄적이다. 한방에서는 메니에르 증후군(내이 속의 림프액 과잉), 편두통, 대상포진(수포를 통한 수분 배설 현상), 결막염, 비염, 천식 등 각종 알러지 증상들도 모두 몸속의 수분이 과잉된 것(=수분이 제대로 배설되지 않는 것, 대사가 정체된 것)으로 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