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본의 본성에 관하여 외 책세상문고 고전의세계 70
소스타인 베블런 지음, 홍기빈 옮김 / 책세상 / 2009년 2월
평점 :
구판절판


베블런은 자본의 착취가 노동자의 잉여노동 뿐만 아니라, 사회 공동체 전체의 생산력까지도 아우르면서 이루어진다고 본다. 사회 공동체 전체의 생산력이란, 공동체가 오랜 세월에 거쳐 누적해온 지식과 기술로부터 비롯하는 능력을 말한다. 최첨단 기술이나 기계도 사실상 개인의 독창적 발명품이 아니라 공동체가 수세기에 걸쳐 누적해온 기술과 지식과 사고능력과 창조력의 총화가 빚어낸 성과물인 것. 이러한 역사적 성과물을 특정인이 독점적으로 소유하여 이윤창출을 위한 도구로 전유한다는 것은 공동체 전체가 지닌 무형자산을 일방적으로 갈취하는 것과 다름 없다.(베블런이야말로 인지노동 담론의 원조인 듯. 베블런의 논리에 따르면 특허권이나 저작권 같은 권리도 사실상 권리로서 주장하기 어려운 종류가 될 것 같다.)

 

베블런의 사상이 마르크스의 그것과 구별되는 점이 한 가지 더 있다. 마르크스가 노동자의 상품화가 이루어지는 산업자본주의를 분석했다면, 베블런이 분석한 것은 자본의 상품화가 이루어지는 금융자본주의였다. 베블런은 ‘자본이 생산을 지배하는 구조’ 위에 ‘금융이 자본을 지배하는 구조’를 하나 더 올려놓는다. 수탈구조가 이중적으로 일어나는 셈인데, 이런 구조 속에서는 '재화시장에서 시장을 지배하는 자본가들의 움직임'과 '금융시장에서 자본을 운용하는 금융거물의 움직임' 사이에 흥미로운 유비가 가능해진다. 

금융시장에 하나의 상품으로서 투입된 기업자본은 이제 시장에서 살아남기 위해 자신의 상품 가치를 높이는데 사활을 걸게 된다. 기업자본의 상품 가치를 매기는 것은 금융시장의 행위자들, 즉 금융거물들이다. 그들은 “기업이 앞으로 창출할 수익의 흐름을 현재 가치로 환산한 것”을 기초로 하여 그 기업의 가치를 매긴다. 이것은 사실상 “그 기업이 앞으로 경제적 과정을 둘러싼 사회 전체에 대하여 얼마만큼의 권력을 가지게 될 것인가에 대한 예측”이나 다름없다.

기업은 자신의 상품가치를 높이기 위해 고용을 최대한 유연하게 하고 장기성과를 내는 투자는 가급적 억제하려고 한다. 앞서 유비가 가능해진다고 했듯이, 자본시장에서의 기업을 재화시장에서의 노동자로 치환해서 생각해보면, 기업의 이러한 전략을 꼭 이윤추구에 사활을 건 탐욕스런 행동이라고 볼 수만도 없을 것 같다. 오히려 그것은 금융시장에서 착취(?)당하면서도 어떻게든 자기가치를 높여 도태되지 않고 살아남기 위한, 기업 나름의 필사적인 발버둥이라고 해야 하는 상황이기 때문이다. 물론, 그 필사적인 발버둥의 최종적 희생양이 비정규직 노동자들이라는 점은 두말 할 나위가 없겠지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