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양미술사 (반양장)
E.H.곰브리치 지음, 백승길 외 옮김 / 예경 / 2003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미술사가 감동적인 이유는 그것이 언제나 혁신과 전복의 역사였기 때문이다. 미술사는 철저히 좌파의 역사다. 보수적인 것들은 반드시 몰락한다. 미술사에서 가치있게 기록되는 작품들은 대부분 전례 없는 시도를 감행한 혁명적인 것들이지만 그중에서도 내가 이 책을 볼 때마다 가장 뭉클하게 여기는 작품은 아래 두 가지다. 이 작품들이 지닌 혁명적 요소는 아주 사소한 곳에 있다.

<전사의 작별>이라고 불리는 이 화병은 그리스인들이 만든 것으로, 가운데 서 있는 남자의 왼쪽 발을 주목할 필요가 있다. 이 책의 저자 곰브리치는 “기원전 500년 조금 전에 미술 역사상 최초로 발을 정면에서 본 것을 그리는 시도를 감행했을 때 그것은 미술 역사상 엄청나게 중요한 순간이었다”고 말한다. 그러니까 이 화병이 제작되기 이전의 그리스인들은 사람의 발을 저렇게도 그릴 수 있다는 사실을 감히 상상조차 못했던 것이다! 

문명의 초창기 시절 그리스인들은 이집트인들의 화법을 그대로 모방하여 “모든 것을 가장 분명하게 보인다고 여겨졌던 형태”로 그렸다고 한다. 가령 물고기가 헤엄치는 연못을 그린다고 했을 때, 그들은 아마도 물고기는 아가미가 보이는 옆모습으로, 연못은 위에서 내려다본 모습으로 그렸을 것이다. 마찬가지로 사람의 발 또한 언제나 측면에서 관찰된 형태로만 그려 넣어질 수 있었다.

그런데 이 화병의 제작자는 최초로, “더 이상 모든 것을 가장 분명하게 보인다고 여겨졌던 형태로 그림 속에 담으려고 시도하지 않고 대신 그가 대상을 바라본 각도를 참작하여” 발 그림을 그려 넣는다. 이 화병을 만든 그리스의 어느 이름모를 도자기 장인은, 자신이 그동안 그 누구도 보지 못했던 것을 최초로 발견함으로써 미술사적 혁명을 일으키고 있다는 사실을 꿈에도 몰랐을 것이다. 회화기법에서의 이러한 인식의 대전환은 수세기를 지나 14세기 조토의 그림(아래)에서 다시 한 번 일어난다.

이 작품에서 주목할 만 한 것은 예수 앞에 쪼그리고 앉아 화면 한 가운데를 가리고 있는 녹색 옷의 남자다. 조토 이전의 중세 화가들은 천 년의 세월 내내 공간감이라고는 전혀 찾아볼 수 없는 순전히 평면적인 그림들만 그려왔다. 조토는 과감히 화면 중앙의 등장인물들을 겹쳐서 배치함으로써 천 년여간을 지속해온 평면적 화풍에 최초로 공간감과 깊이감을 불어넣었다. 조토가 벌인 초유의 실험은 이후 원근법으로 발전하여 르네상스 미술이 꽃피는데 결정적으로 일조하게 된다. 

분명 조토는 기존의 방식에 답답함을 느끼고 무언가 새롭고 효과적인 회화기법을 시도하려고 안간힘을 썼을 것이다. 그러나 조토가 활동하던 시대에는 르네상스 시기 이후 발달했던 근대적 회화기법의 개념 자체가 아직 없었기 때문에 그는 자신이 그토록 머리를 쥐어짜며 시도하려던 것이 원근법적 기술이었다는 사실조차 몰랐으리라. 그러나 그는 결국 해냈다. 원근법의 맹아를 보여주는 이 작품을 제작함으로써 그는 또 한 번의 혁명의 주인공이 되었다.

인간은 보이는 대로 그리는 게 아니라 아는 대로 그린다. 개념적 사유를 하는 인간은 사물을 지각할 때 자신이 이미 알고 있는 지(知)의 도식을 적용하기 때문이다. 그런 점에서 미술사는, 특히 회화의 역사는 인류의 인식의 역사라 해도 과언이 아닐 것이다. 그리스인의 화병과 조토의 프레스코 벽화가 말해주듯이, 후대의 인류에게는 너무나 쉽고 당연하고 자명한 것으로 인식되는 '무언가'가 현재의 우리에게는 감지하기조차 불가능한 '무언가'일 수도 있겠다. 어쩌면 그런 '무언가'들이 이미 세계 도처에 넘쳐나고 있는지도 모를 일이다. 

지금 이 순간 우리가 보지 못하고 있는 것, 인식하지 못하고 있는 것은 무엇일까. 지금으로서는 알 수 없다. 그러나 우리가 아주 먼 훗날, 그것을 인식하게 되었을 때, 우리는 비로소 우리가 그동안 무엇을 그토록 못 보고 있었는지, 그러나 사실은 그 모든 것들이 얼마나 자명한 것이었는지 깨닫게 될 것이다. 그리고 어쩌면, 우리는 폭소하게 될지도 모른다. 너무나 말도 안 되고 기가 막혀서! 바라보는 방식의 일대 전환이 일어나기 전까지 그런 것들은 우리 눈에 절대로 안 보일 테지만, 만약 우리에게도 기적적으로 새로운 인식의 전환이 일어나게 된다면, 바로 그 순간이야말로 곧 인류 역사를 장식하게 될 새로운 혁명적 사건이라고 할 수 있지 않을까. 

곰브리치의 <서양미술사>를 오랜만에 다시 펼쳐보게 된 것은 월러스틴의 <세계체제분석>(당대, 2005) 때문이었다. 이 책에서 월러스틴은 자본주의 시장경제의 역사적 동학에 근거하여 근대세계체제의 종말을 전망하고 있는데, 사실상 그가 예견하는 근대체제의 종말이란, 기존에 우리가 세계를 바라보기 위해 갖고 있던 모든 확고한 인식의 틀이 붕괴하지 않고서는, 그리하여 이전의 세대가 전혀 보지 못했던 것을 볼 줄 아는 새로운 인류가 출현하지 않고서는 불가능한 일일 것이다. 새로운 주체의 출현이라는 문제와 관련하여 미술사적 사례 가운데서 가장 먼저 떠오른 것이 바로 위의 두 작품들이었다. 오랜만에 곰곰이, 한참을 바라봤다. 인식의 혁명을 이루어냄으로써 각각 그리스미술과 르네상스미술의 맹아가 된 저 기적같은 두 작품을.

<전사의 작별>, 기원전 510-500년경. 에우티미데스의 서명이 있는 적회식 도자기, 뮌헨 고대 미술관
<그리스도를 애도함>, 조토, 1305년경. 파도바의 델아레나 예배당 프레스코


댓글(2)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2011-02-08 01:18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11-02-12 17:14   URL
비밀 댓글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