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러스틴의 세계체제 분석 당대총서 20
이매뉴얼 월러스틴 지음, 이광근 옮김 / 당대 / 2005년 3월
평점 :
품절


<세속의 철학자들>에서 하일브로너는 복지사회주의적 관점에서 국가가 경쟁에서 도태되고 희생된 자들을 구휼함으로써 시장을 견제해야 한다고 했지만, 이 책에서 월러스틴은 국가와 시장이 결코 상호대립하지 않는다고 말한다. 오히려 이 둘은 보완적 관계를 이루어 자본주의체제를 견고하게 만든다. 월러스틴의 관점에서 보면, 국가의 역할은 경쟁에서 배제된 자들이 완전히 도태되어 시장 활동 자체를 못하게 되지 않도록 그들을 적당히 구휼하고 또 이를 통해 사회적 불안을 해소해서 장기적으로는 노동공급 확보와 유효수효를 창출해 내는 것이다. 그러니까 거칠게 말하면, 시장은 공동체 사회를 파탄내면서 거기서 생명과 활력을 얻고, 이렇게 시장이 파탄낸 공동체 사회를 국가가 다시 어느 정도 시장의 구미에 맞게 재정비해 놓으면 시장이 또 다시 파탄내고 하는 이러한 일련의 반복적 과정이 곧 자본주의체제인 셈이다.

자본주의 세계경제체제는 이렇게 국가와 시장의 쌍끌이작용(?)과 더불어 헤게모니 국가의 지속적인 교체(네덜란드-영국-미국) 속에서 돌아간다. 그런데 왜 헤게모니국가는 지속적으로 교체되어야 하는 걸까. 일단 헤게모니지위를 차지한 국가는 후발주자국가들의 성장으로 인해 점차 생산에 대한 독점력이 줄어들고 헤게모니 지위를 유지하는데 드는 비용도 만만치 않아서 지금의 미국의 경우와 같이 점차 쇠락의 길을 걷게 되는 것.

월러스틴은 이런 식으로 조만간 망하는 게 비단 미국만이 아니라고 본다. 자본주의세계체제 그 자체도 종언을 고할 날이 머지않았다는 거다. 시간이 지날수록 세계적으로 생산비용이 증가하고 있기 때문이다. 즉, 임금(노동력을 착취할 제3세계 지역이 점차 전세계적으로 줄어들어가고 있음- 더 이상 공장이전할 곳이 없음), 생산재료비(생산에 필연적으로 따르게 되는 환경오염처리비용이 가면 갈수록 감당하지 못할 정도로 늘어남, 자연자원은 고갈되고 폐기물 매립지는 점차 줄어듦. 이 모든 난관이 결과적으로 생산비 상승을 불러일으킴), 세금 내야 할 비용이 점점 더 많아지고 있다는 것. 수지가 맞으려면 판매 가격이라도 올라야 하는데, 이마저도 더 이상 오르기 힘들다. 자본주의체제가 발달할수록 모든 나라의 생산력이 향상되어 너도나도 생산하기 때문에 더 이상 생산의 과점적 조건을 유지하기 힘들기 때문이다. 이러는 와중에 체제에서 도태되고 약자가 된 집단들의 투쟁은 격화된다. 문명, 민족, 종교, 인종 기타 등등 사이에서 갈등과 투쟁은 첨예화되고 사회는 점점 더 카오스 상태로 되어간다.

월러스틴의 이론대로 생각해 봤을 때, 미국을 중심으로 한 오늘날 자본주의 세계경제체제가 다음 주기로 이행하기 위해서는 기존의 미국식 축적시스템(법인기업 시스템)과는 전혀 다른 새로운 축적시스템이 생겨나야 하고 그에 따른 새로운 국가간체계 또한 재조직되어야 한다. 과연, 인류는 현재의 자본주의체제 위기를 극복할 수 있는 새로운 축적시스템을 개발해낼 수 있을까. 그리하여 네덜란드-영국-미국의 계보를 잇는 다음 주자를 탄생시킬 수 있을까. 아니면, 인류는 몇 세기 동안 지속되어 온 자본주의체제 그 자체를 뛰어넘어 전혀 다른 삶의 방식을 구축해낼 수 있을까.  

만약 우리가 자본주의세계체제 이후의 어떤 체제를 상상하게 된다면, 그것은 마치 인류 전체가 알을 깨고 나오는 것에 대한 상상이나 다를 바 없을 것이다. 중세에서 근대로의 이행이 인류 정신의 대격변이었듯이, 체제 자체의 전환이라는 것 역시 정신의 개벽일 것이다. 사회제도나 경제체제는 물론이고 생활양식, 풍습, 가치관, 예술사조 등 각 방면에서 근본적 변화가 이루어지지 않고서는, 인류 역사상 단 한 번도 출현하지 않았던 새로운 종류의 인식의 틀을 가진 주체가 도래하지 않고서는, 불가능한 일일 것이다. 과연 인류는 또 한 번 정신적 혁명을 이루어낼 수 있을까. 알을 깨고 나올 수 있을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