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아나키즘 ㅣ 비타 악티바 : 개념사 2
하승우 지음 / 책세상 / 2008년 11월
평점 :
품절
아나키즘은 하나의 이론으로 정의되지 않는다. 일관되고 체계적으로 이론을 정립하려는 시도 자체가 이미 반-아나키즘적이기 때문이다. 다만 여러 갈래의 아나키즘들이 보여주는 전반적인 성격과 경향을 종합해볼 수는 있을 것이다. 이 책에서는 아나키즘에 대해 이렇게 설명하고 있다.
 |
|
|
|
아나키즘을 삶의 신념으로 받아들이는 사람들은 아나키즘을 단순히 무정부주의로 번역하지 않는다. 이들은 반강권주의가 더 정확한 표현이라고 말한다. 아나키즘은 국가만이 아니라 시장의 폭력에 맞서고 여성을 억압하는 가부장제와 생태계를 파괴하는 개발주의에도 반대하기 때문이다. 그리고 아나키즘이 추구하는 미래는 완전한 무질서가 아니라 내가 합의한 질서를 뜻한다. 내가 스스로 복종하기로 마음먹었다면 그 질서는 나를 억압하는 것이 아니라 나의 뜻을 완성하는 것이다. 이런 맥락에서 아나키스트는 모든 권위를 무조건 반대하는 것이 아니라 강압적이고 억압적인 권력을 거부한다. |
|
|
|
 |
국가 없이 과연 사회가 조화롭게 유지될 수 있을까. 이런 의문에 대해 아나키스트들은 상호부조와 자활자치가 이루어지는, 농업에 기반을 둔 순환경제의 소규모 공동체 사회라면 굳이 정부 조직이 필요치 않다고 말한다. 소규모 공동체 사회에서 필요로 하는 것은 정부가 아니라, 자유로운 협약과 협동조합, 공동체끼리의 연대와 네트워크 같은 것들이다.
이 책에서 소개하고 있는 아나키스트들: 푸르동(소유란 무엇인가), 바쿠닌(국가주의와 아나키, 국가 없는 사회주의), 머레이 북친(사회생태주의란 무엇인가), 크로포트킨(상호부조론, 빵의 쟁취), 페레, 고드윈, 도로시 데이, 헤나시, 고토쿠 슈스이, 오스기 사카에, 류스페이, 리스쩡, 콜린 워드, 신채호, 장일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