함께 보는 한국근현대사 서해역사책방 5
역사학연구소 지음 / 서해문집 / 2004년 3월
평점 :
구판절판


이 책을 읽어보면 우리가 북한을 괴뢰정권이라고 할 처지도 못 된다. 지금은 국제사회의 계륵이 되어버렸지만 그래도 북한 정권의 시작은 역사적으로 충분히 의의를 부여할 수 있을 만큼 창대했던 것 같다. 자주정신에 입각해서 건립된 나라는 정작 오늘날 국제질서에서 고립된 채 자주력을 상실한 국가가 되어버렸고, 식민근성에 젖어있던 쪽은 반대로 자주력을 갖춘 나라로 성장했다는 게 아이러니하다. 역사의 블랙유머일까.   

북한에서는 김일성 중심의 유일지도체계가 공고화되기 전에, 그러니까 50년대에 종파사건이라는 게 일어나서 김일성 개인숭배에 저항했던 정치세력들이 모조리 숙청당했다고 한다. 비슷한 시기 남한에서는 진보진영을 이끌었던 조봉암 선생이 사형당했고. 북한이나 남한이나 이념전쟁이 낳은 비극을 똑같이 경험했던 셈이다. 또 이 책에서는 60-70년대에 북한이 먼저 남한 체제를 인정하고 적극적으로 연방제를 제안했던 것으로 나와있다. 물론 당시 북한이 경제 정치 여러 부문에서 남한보다 우위에 있었기 때문에 가능한 일이었겠지만.

이 책은 남북한이 원래 한민족이기 때문에 통일이 당연히 그리고 반드시 이루어져야 한다고 말하는데, 민족이념으로 통일문제에 접근하는 것이 80년대생인 나에게는 솔직히 그닥 와닿지는 않는 것 같다. 현재 남한사회만 하더라도 순수 혈통의 한민족이라고 할 수도 없지 않은가. 나만 해도 북한 사람보다 베트남 사람이 더 친근하게 느껴지는데... 남한 사회부터 다민족 국가로 재편되어가는 판국에 한민족 운운하는 것은 어디까지나 결국 명분에 불과한 게 아닐까. 통일은 결국은 철저히 자본주의적 논리로 실익을 따져가면서 접근할 수밖에 없지 않을까. 그럼 자본주의적 관점에서 접근했을 때 북한이 과연 브라질이나 인도보다 더 시장성이 있다고 할 수 있을까. 한편으로는 이런 것도 궁금하다: 남북 적대 상황에서 지출되는 군사비 부담 vs 통일 과정에서 우리가 치러야 할 경제적 부담 둘 중에 어느 게 더 클까 하는.        

이 책에서는 80년대 이후 여성, 환경, 교육 등 사회 각 분야에서 대두된 시민운동에 대해서 "합법적인 테두리 안에서 시민 일반의 이익 실현을 목표로 하는 탈계급적이며 소시민적인 성격에 얽매일 수도 있다"면서 야박하게 평가하는데, 이런 대목에서는 내가 옛날에 김규항 씨 책을 읽으면서 느꼈던 뭔가 꽉 막힌 기분과 똑같은 걸 어쩔 수 없이 또 느끼게 된다. 왜 꽉 막힌 기분이 드는지 논리적으로 설명은 못하겠다. 그냥 감각이나 정서로 와닿는 거라서 그런 것 같다. (내가 이 책을 구판(1995)으로 읽어서 그런 지도 모르겠다)


댓글(2)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수양 2010-09-02 23:08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음... 통일이 되어야 한다는 이유로 말씀하신 '미래의 생존을 위한 조건'이라는 게 저로서는 약간 모호하게 들리는데요. 혹시 북한의 생존 위기를 염려하신 거라면, 냉정한 걸 수도 있지만 제가 봤을 때는 그런 염려 자체가 민족주의에 바탕을 둔 동정론적 접근 같거든요. 이념이나 감성에 호소하는 당위적인 통일론 말고, 실리적으로 생각해보면 통일에 대해서는 저로서는 어쩔 수 없이 회의적인 입장이 되는 거 같아요. 게다가 위에서 말씀하신 거처럼 군사비 지출의 증감 여부가 통일과 무관하다면 더더욱요...

이 책에선 북한이 한참 잘 나갈 때 세 가지 종류의 연방제를 우리쪽에 먼저 제안했다고 나오는데, 그때 북한에선 연방제를 통일의 과도기적 상태로 인식한 게 아니라, 연방제 자체를 두 체제가 독립적으로 공존하는 최적의 상태로 상정하고 있었다고 해요. 벌써 3-40년 전에 나온 얘기긴 하지만, 통일문제에 관해 별로 아는 게 없는 저로서는 북한의 이런 제안이 흥미롭게 읽히더군요.

수양 2010-09-02 23:10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헉 왜 지워버리셨지-_-