체제의 외부를 구성하고자 하는 수유-너머야말로 사실상 인문학 콘텐츠를 판매하는 집단으로 이미 자본주의체제에 성공적으로 안착하지 않았는가. 우연히 어느 인터넷 게시판 논쟁에서 이런 요지의 덧글을 읽고 마음이 계속 무거웠다. 아마도 지금 이 글을 적고 있는 것 역시 그 해소되지 않는 마음 때문인 것 같다. 어떤 면에서는 옳다고 할 수도 있겠지만, 그럼에도 그 말은 명쾌하다기보다는 차라리 가혹하게 느껴지는 지적이었다. 이것이 단지 내가 수유-너머 주위를 배회하고 있는 처지이기 때문이어서만은 아닐 것이다. 

철저히 자본주의적인 시각에서 수유-너머를 바라봤을 때 나올 수 있는 지적이고, 거기에 무슨 반론을 달 수는 없을 것 같다. 그것은 그저 의도와는 무관한 효과로서 수유-너머가 받아들여지는 방식이기 때문이다. 내가 씁쓸했던 것은 다만, 그 비판이 대상에 대한 어떠한 이해의 의지도 없어 보였다는 점이다. 아니, 애당초 그것은 대상에 대해 이해하려는 의지가 없기 때문에 가능한 비판이었는지도 모른다. 그런 식의 비판은 마치 자신을 중심으로 단단한 성벽을 둘러쌓고 그 안에서 한 발짝도 나오려 하지 않은 채 고함만 쳐대는 비판처럼 느껴진다. 

푸코가 계보학적으로 역사를 분석하는 새로운 시도를 했을 때 그의 저작들은 대부분의 역사학자들로부터 거부당했다. 푸코의 연구방식이 자신들의 고유한 방법론적 틀을 벗어나 있었기 때문이다. 푸코가 역사학자들로부터 폄하되었던 사실이 내게는 수유-너머에 대한 비판과도 무관해 보이지 않는다. 확고하게 구축된 장소로부터 결코 벗어날 생각이 없이 오로지 그 안에 진을 치고 앉아 이질적 대상을 규정하고 비판을 가하기란 참으로 쉬운 일이다. 그리고 그것은 쉬운 만큼 또한 가볍고 폭력적이다. 대상을 비판하기 위해서는 거리가 필요하지만, 그 거리가 몰이해에서 비롯한 것일 경우 비판은 더 이상 비판이라고 할 수 없지 않을까. 그것은 차라리 프로크루스테스의 침대처럼 대상을 잔인하게 재단해버리는 일에 가깝지 않을까. 

내가 이런 이야기를 늘어놓는 까닭은 나 역시 수유-너머 주위를 배회하면서도 그런 거리로부터 여전히 자유롭지 못하기 때문일 것이다. 수유-너머에서는 인문학을 배우러 오는 사람들에게 자본주의 체제에서와는 다른 관계 맺기 방식을 제안한다. 그것은 확실히 새롭고도 놀라운 방식이다. 그러나 내가 그런 제안에 대해서 어떠한 어려움이나 부담감도 느끼지 않았다고 한다면 그것은 거짓말이리라. 내가 그들의 제안과 환대에 기꺼워하면서도 한편으로 부담감을 느끼며 발뺌하는 이유는 단순하다. 자본사회 체제의 속성에 길들여진 나에게는 그런 낯선 관계 맺기의 세계에 동참하는 일이 그동안의 사회 체제에서 자연스레 습득한 개인주의적 생활 양식의 일부를 포기해야 함을 의미하기 때문이다. 그것은 새로운 모험을 위해 또 다른 불편을 감수해야 하는 일이고, 그래서 나로서는 여간해서 쉽게 그곳의 사회에 끼어들기가 어려운 것이다.  

나는 낯선 세계를 받아들이는 방식이 적어도 프로크루스테스처럼 잔인하게 이루어져서는 안된다고 생각하지만, 프로크루스테스가 탄복할 만한 별다른 획기적인 방안도 갖고 있지 못하다. 그래서 오늘도 그저 우물쭈물한 표정으로 수유-너머를 기웃거리고 있을 따름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