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 강의 중에 흥미롭게 들었던 대목은 ‘전향’에 관한 부분이었습니다. 곱씹어 보면: 

 

노예가 의식적인 훈련을 통해 주인의 경지로 ‘이행’할 수는 없다. 다만, 노예가 ‘전향’을 통해 일거에 새로운 주체가 되어 주인으로서의 새 삶을 시작할 수는 있다. 그렇다면 전향은 어떻게 이루어지는가.

 

(1)사건의 체험 속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
(2)차이의 파토스 속에서 자신의 노예적 상황(?)을 준열하게 응시함으로써 일어날 수 있다. 처절한 자기 응시가 극한에 달했을 때 비로소 일어나는 어떤 전환, 이것은 변증법과는 다른 종류의 도약이며, 이것이 ‘전향’이 될 수 있다.

 

(1)과 관련해서 더 생각해 본 것인데요. 주체를 독립적이고 고정된 하나의 실체가 아니라, 관계 속에서의 작용(칸트 식으로 말하면 통각작용) 내지는 작용의 효과로 정의한다면, 새로운 배치 속에서 접속하는 항이 달라진 주체, 그러니까 새로운 배치 속에서 다른 ‘기계’가 된 주체 또한 전향이 일어난 주체로 볼 수 있지 않을까요.

 

즉, ‘사건’이 통시적인 측면에서 각각의 어떤 상태(항)들이 계열화되는 것을 뜻한다면, 공시적인 측면에서는 ‘배치’의 문제를 주목해볼 수도 있지 않을까 하는 것입니다. 예를 들어 제 경우에 직장에선 전형적인 원한의 인간이자 초특급 노예인데 공부하러 오면 그래도 좀 주인다워지거든요. 처해 있는 환경(물적 토대)에 따라서, 그러니까 어떤 배치의 장에 놓여 있느냐에 따라서 힘의 발생 양식도 사뭇 달라지는 것 같아요.

 

그런 점에서 능동적 힘을 발휘할 수 있을 만한 배치의 장 속으로 자신의 위치를 이동시키거나, 혹은 새로운 배치(환경)를 스스로 창조해낸다든지 함으로써 주인으로의 전향이 가능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새로운 배치 속에서 전혀 다른 기계가 됨으로써 말이죠. 물론 포괄적인 범주에서 보면 이 또한 '사건의 체험'일 수 있겠습니다만...

 

선생님의 답변: 사건은 통시적인, 즉 크로노스(연대기)적 시간 속에서 전개되는 것이 아니라, 동시적이고 평평한 시간, 그러니까 아이온(영겁회귀)의 시간 속에서 생성되는 게 아닐까요? '전향', 내지 '존재변이'를 위해 우리는 통시적인 사건을 겪는 게 아니라 영원회귀적인 사건을 기다리고, 혹은 창조해야 하는 게 아닐까요? 또한 '배치'가 어떤 초월론적 '장'을 형성한다는 점에서 공시적으로 보이지만 그 선험적 장에는 시간성이 내포되어 있는 게 아닐까요? 그래야 장의 변이(차이생성) 역시 가능하지 않을까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