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정신현상학 ㅣ 쉽게 읽는 철학 3
랄프 루드비히 지음, 이동희 옮김 / 이학사 / 2002년 6월
평점 :
절판
입문서임에도 불구하고 어려워서 ①헤겔의 사상적 전제들, ②변증법, ③헤겔로부터 맑스로 이어지는 과정 정도만 골라 읽었다. 이 책 앞부분에서는 본론에 들어가기 전에 먼저 칸트-피히테-셸링-헤겔로 이어지는 독일관념론 철학의 흐름을 개관하고 있는데, <철학과 굴뚝청소부>(이진경, 그린비, 2005)를 참고하여 그 부분이라도 요약해둔다. 철학을 전개하는 출발점을 칸트와 피히테가 주체(자아)로 잡았다면, 셸링과 헤겔은 반대로 객체- 즉 (대)자연이나 절대정신 같은 외부의 절대적인 것으로부터 출발한다.
*
1. 비판적 관념론- 칸트 칸트가 흄의 회의주의를 극복하고 주체를 재건하려 했다는 점에서 ‘비판적 관념론’. 칸트 생각으로는 물 자체와 현상, 즉 고유의 사물 자체와 그것이 우리에게 상으로 맺히는 모습, 이게 서로 일치하는지 일치하지 않는지는 우리 능력으로서는 파악할 수 없다. 사물 자체를 인식하는 게 불가능. 그러나 우리에게는 선험적 판단 주체가 있어서 정확한 인식 가능하다.
2. 주관적 관념론- 피히테
피히테는 ‘물 자체’와 ‘인식된 현상’의 간극을 메우기 위해 스피노자의 생각을 빌려와 이렇게 주장한다; 애초에 ‘고유한 사물 자체’라는 거 없다. 이 모든 우주 삼라만상이 그저 내가 만들어낸 (환)상像이며 주관적 현실이다. 존재하는 모든 것은 그저 ‘내 눈에 상으로 맺히는 모습’일 뿐. 모든 현상(현실)은 자아의 주관적 활동이다. 우리가 바라보는 세계란 실제로는 ‘창조적 자아(=우리 자신)의 기획’일 뿐이다. 고로 대상과 주체가 일치할 필요 없다는 스피노자 식 결론.
그럼에도 불구하고 현실에는 나와 구분되는 어떤 것이 존재한다. 바로 이 이질적인 것이 ‘비아’. 그러나 ‘비아’ 또한 ‘자아의 정립’이다. 왜냐하면 우리는 이미 인식된 세계의 범주 안에서만 자아/비아 정립 가능한데, 이미 인식된 세계 자체가 ‘주관적 현실’ 즉 (대)자아이므로. 자아/비아 구분하고 정립하는 그러한 활동 자체가 곧 자아의 활동.
이러한 논리라면, 그런 활동의 결과를 논의하는 것, 즉 자아 또는 비아가 옳게 정립되었는지 그르게 정립되었는지, 인식이 제대로 이루어졌는지 등등을 논의하는 게 무의미해져 버림. (애초에 물 자체란 없다니까!) 고로 회의주의로 빠지고 마는 딜레마.
3. 객관적 관념론- 셸링이때 피히테를 셸링이 구원(?)한다. 셸링은, 모든 현실은 자아의 주관적 표상일 뿐이지만, 이 주관적인 자아 안에 ‘지적 직관능력’이 있어서 인간은 이러한 지적 직관능력으로 모든 현실성의 근거인 절대자, 신적인 것을 들여다 볼 수 있다고 주장. 이렇게 말하면서 셸링은 실제로 그 자신의 지적 직관 능력으로 자연이라고 하는 신을 발견해버림으로써 자신의 주장을 간단히 증명해(?) 버린다. 이에 대해 헤겔은 "어떠한 예비적 발전도 없이 절대자의 갑작스런 발견을 주장하는 셸링의 지적 직관이 마치 피스톨에서 발사된 것처럼 보였다." 고. 피히테가 철학을 전개하는 출발점을 자아로 잡았다면 셸링은 이 절대적 기준점을 대상, 즉 자연으로 설정한 셈.
4. 절대적 관념론- 헤겔
셸링에게 자연은 곧 정신이었지만, 헤겔은 자연이란 ‘되어가는 정신’이었다. 자연은 정신을 향해 나아가는 것이고, 정신이야말로 자연의 목적이었다. 헤겔은 독일관념론의 흐름을 최종적으로 이렇게 완성한다.
-우선 개별적 의식 안에 있는 정신의 현상들은, 감각적 의식으로부터 시작해서 자기의식에 이른다.
-결국 정신은 세계와 역사 속에서 현상하며, 절대적 정신 속에서 자기실현에 이르게 된다.
*
한편, 헤겔은 '감각적 확신'이라는 최초의 단순하고 순수한 형태의 자기의식이 '외화'를 통해 대타아를 형성하고, 그 속에서 자기 발전과정을 통해 자신에 대한 인식에 이르러 절대정신으로 완성된다(=자기 내 복귀)고 말하지만, 맑스는 헤겔의 이러한 변증법적 운동에서 '유물론'을 끌어낸다.
헤겔이
자연과 물질적인 것은 정신의 외화의 결과라고 말한다면 맑스는 이를 전복하여 이렇게 말한다;
이념적인 것과 정신은 질료의 진화적 산물이다. 즉, 물질과 질료라는 외화는 이념과 정신의 토대가 된다. 맑스에게 있어서 질료는 물리적인 요소라기보다는 자연에 대해 노동을 가하며 또한 그것에 의해서 스스로를 형성해 가는 '인간'이다. 헤겔에게는 자기의식의 운동이 중요하겠지만, 맑스는 인간과 자연사이의 운동에 주목한다.
이렇게 미묘한 관점의 차이 때문에 헤겔의 주인-노예 변증법을 맑스는 조금 다르게 이해한다. 일단, 헤겔이 말한 주인-노예 변증법이란 다음과 같다; 주인-노예 변증법에서 노예는 주인의 명령을 받아 일을 하기 시작하면서 자신의 ‘자립성’을 확립하게 된다. 반대로 주인은 노예한테 일을 너무 맡기다 보니까 노예가 없으면 아무 일도 못하고 결국 노예 의존적이 된다. 즉, 노동은 대상(=주인)을 형성하고 형식화할 뿐만 아니라 또한 노동하는 인간(=노예)도 형성하고 형식화한다. 이렇게 헤겔은 노동을 통한 자기의식 도달, 자기자립, 자기 형성을 말한다.
그러나 인지적 앎(순수이성)보다 실천적 앎(실천이성)에 더 큰 의미를 둔 마르크스는 사회적 관점에서 이를 다음과 같이 부정적으로 인식한다. 헤겔 말대로 원래는 노동이 인간을 형성하는데, 산업 사회에서는 비인간적인 노동 조건 때문에 노동자가 오히려 탈형성화된다. 산업 사회의 비인간적 노동조건이 노동자로 하여금 자신을 형성할 기회를 박탈하는 것이다. 결국, 노동자는 자신의 (비인간적) 노동을 통해서 자신의 소외를 생산해낸다. 열악한 사회조건 때문에 노동자는 정반합적으로 자기를 실현하지 못한다. 따라서 맑스에게 있어서 철학의 과제는 "이성이 실천적이 되어 노동자가 처해 있는 비인간적 상태와 정의롭지 못한 상태에 이성이 관여할 수 있는 현실을 산출해 내는 것"이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