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작과 비평 146호 - 2009.겨울
창작과비평 편집부 엮음 / 창비 / 2009년 12월
평점 :
품절


이번 창비신인상 당선작 가운데 진은영 시에 대한 평론이 있었는데, 얼마 전 진은영의 <우리는 매일매일>을 갸우뚱하며 읽었던 나로서는 간지럽던 부위가 시원해지는 평론이었다. 진은영의 시 <아름답다>에서 이미지의 기저에 배어 있는 언캐니한 느낌에 대한 발견, <청춘3>이 정치적 의미로 확장되어 읽힐 수도 있다는 것, <눈의 여왕>에서 ‘피 묻은 자줏빛 살덩이’라는 구절의 해석 등은 이 글을 읽으며 얻은 수확이다. 좋은 평론은 시집을 다시 뒤적여보게 하는구나.  

이 글에 따르면, 진은영의 시는 "시어의 지시성을 의도적으로 회피함으로써 의미의 가독성을 경계하고 특정한 메시지를 지닌 언표에 저항하는 방식으로 시적 발화를 수행"하고 있다는 것. 그녀의 시는 그림으로 치면 구상회화가 아니라 비구상 꼴라주이며, 이 꼴라주 속에서 불화하는 이미지들의 고유한 배치가 때로 언캐니한 느낌을 만들어 내어 "단어가 환기하는 익숙한 의미체계에 불편하고 이질적인 느낌을 전달"한다는 것.  

그러고 보면 익숙한 의미체계에 종속되어 있던 이미지들을 방생하고 온존하게 독립시키는 일이 진은영 시의 주된 작업일 수도 있겠다. 그녀의 시를 읽으면서 받았던 인상, 그러니까 두 눈이 핑핑 돌면서 잠시 환각 상태에 빠졌다가 그만 노곤해지고 결국엔 공허해져 버리는 경험(?)을, 나는 그저 이미지의 인플레이션과 그로 인해 상대적으로 빈곤해져버린 의미 때문이라고 생각했었다. 평론을 읽고 나니 진은영 시에 대한 그간의 내 느낌들이 피상적 독해에서 비롯되었던 건 아니었나 다시 생각해보게 된다.

"진은영에게 시의 유토피아란 아마도 감성적인 것과 정치적인 것이 서로를 투신하여 ‘미적으로’ 결합하는 상상일 것이다. 하지만 새로운 감성과 난해한 문법으로 무장하는 젊은 시인들의 지형 안에서 그 상상의 영역은 지극히 빈곤해 보이며, 때문에 그녀의 곤경과 고투는 충분히 격렬한 것이 된다." -p.315 

<우리는 매일매일>을 읽으면서, 흡사 포탄처럼 쏟아지던 무수한 이미지들을 받아내느라 시각적 피로감을 겪긴 했으나, 그럼에도 불구하고 시를 읽는 내내 나는 마치 기백이 넘치는 명랑한 이웃집 언니의 목소리를 듣는 것 같았는데, 이 건강하고 씩씩한 기백이야말로 "격렬한 고투"의 추진력이자 진은영 시의 미덕이 아닐까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