녹색평론선집 1 - 개정판
김종철 엮음 / 녹색평론사 / 2008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91~92년도에 녹색평론지에 게재된 글 가운데 일부를 추린 책. 시인, 수필가, 환경운동가, 과학자, 건축가 등 다양한 직종을 가진 필자들이 모여 생태와 환경에 대한 담론을 펼치고 있다. 내용을 언급하기에 앞서 먼저 이 책의 생김새 자체에 주목하지 않을 수 없겠다. 외형부터가 이미 책에서 논의된 담론을 적극적으로 실천함으로써 무언의 웅변을 하고 있기 때문이다. 같은 출판사의 <오래된 미래>보다도 한층 더 금욕적인 느낌이 드는 이 책은 전 페이지를 통틀어 사진이 전무하고 표지는 한없이 엄숙하며 400페이지에 육박하는 내지는 역시나 재생지인데다가 글자 크기 또한 깨알 같다. 철학과 신념이 고스란히 반영된 이 책의 외형에서 순간 경건함마저 느꼈다면 지나친 감상일까.  

이 책에서 녹색평론 주간 김종철 씨는 "진실로 사람다운 삶을 누릴 수 있기 위해서 우리가 할 수 있는 것은 협동적인 공동체를 만들고, 상부상조의 사회관계를 회복하고, 하늘과 땅의 이치에 따르는 농업 중심의 경제생활을 창조적으로 복구함으로써 생태학적으로 건강한 생활을 조직하는 일밖에 다른 선택이 없다"고 (헤아려 보면 20년 동안 일관성 있게) 주장하고 있으며, 미국의 환경운동가 제리 맨더는 "텔레비전이 인간의 의식과 정신을 침략하여 그것들을 상품화한다"면서 텔레비전을 집에서 없앨 것을 제안하고, 하싼 파티라는 건축가는 주인이 소외된 채 자본논리에 의해서만 건축되는 현대의 가옥에 의문을 제기하며 저렴하고 토착의 재료를 사용한 (그래서 그 어느 곳보다도 제3세계에 꼭 필요한) 생태적 가옥을 소개한다. 또한 영국의 과학자 제임스 러브로크는 생물권과 대기권과 지각과 수계가 화합을 이루어 유기적으로 활동하는 거대하고 전지구적인 기능적 단위로 가이아라는 개념을 제안하며, <탈학교 사회>를 쓴 이반 일리치는 간디의 오두막을 다녀온 소감으로 "우리가 평생 동안 끊임없이 수집하는 가구나 기타 물품들은 우리에게 결코 내면적인 힘을 주지 않으며, 우리가 소유한 불필요한 물건이나 상품들은 오히려 주위환경으로부터 행복을 섭취할 수 있는 우리 고유의 능력을 위축시킨다"고 강조한다. 

이 책에서 특히 곱씹어 볼만한 이야기는 마지막 꼭지인 제레미 리프킨의 <쇠고기를 넘어서>라는 글이다. 리프킨은 이 글에서 개인의 건강을 위해서든, 지구생태계의 보전을 위해서든, 제3세계의 굶주리는 사람들을 위해서든, 또는 동물 학대를 막기 위해서든, 산업사회에 있어서 고기 중심의 식사습관은 하루빨리 극복되어야 한다고 역설한다. 날마다 수천 명의 사람들이 기근으로 죽어나가는 에티오피아가 유럽 국가들에 가축 사료를 수출하기 위해 농토의 일부를 사료용 곡물을 재배하는 데 사용하고 있다거나, 지난 반세기 동안 세계 전체 목초지의 60퍼센트 이상이 과도한 방목으로 파괴되었다거나, 소들이 먹는 사료용 곡물을 생산하는 데 필요한 석유화학 비료에서 지구온난화 요인의 6퍼센트에 해당하는 질소산화물이 발생한다거나 하는 이야기들은 나로서는 그야말로 금시초문의 충격적인 사실이 아닐 수 없다. 그동안 나는 쇠고기를 얼마나 진심으로 열렬하게 충심으로 가슴 깊이 투철하게 사랑해왔단 말인가! 그러나 앞으로는 어쩐지 쇠고기를 먹을 때마다 죄책감에 시달리게 될 것 같다. 차라리 모르고 말 걸.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