왜 세계는 전쟁을 멈추지 않는가?
다케나카 치하루 지음, 노재명 옮김 / 갈라파고스 / 2009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 책에서 말하는 '전쟁'이란, 인명을 해치는 수위의 사회 갈등 전반을 지칭한다. 그러니까 저자의 관점으로는 우리가 흔히 알고 있는 일반적인 의미의 전쟁 뿐만 아니라 폭동, 테러, 무장세력이나 정부에 의한 숙청과 탄압까지도 폭넓은 범주에서 모두 전쟁인 것. 책에 따르면, 세계는 안전하고 풍요로운 사회와 위험하고 가난한 사회로 나뉘며, 대개 전쟁은 후자의 사회를 끼고 일어난다. 전쟁의 배후에는 반드시 군대, 경찰, 반정부 무장조직, 국제테러조직, 마피아조직 등의 폭력전문집단이 존재하며, 특히 가난한 사회의 폭력집단이 활용하는 폭력의 도구(무기, 자금, 정보, 네트워크)는 주로 안전하고 풍요로운 세계가 생산하고 수출한 것에 의존한다. 전쟁은 이런 식으로 양 사회 간에 자본과 자원이 순환하는 하나의 거대한 장(場)으로서 기능한다. 

안전하고 풍요로운 사회의 대표격은 미국이다. 이 책은 전쟁이라고 하는 장(場)에서 미국이 보여주는 패턴을 이렇게 요약하고 있다. (1)미국은 자신의 '적'을 봉쇄하기 위해 자신을 대신하여 전쟁을 벌일 국가나 무장세력을 지원한다. (2)미국의 군사원조를 받은 국가의 군대나 무장조직이 성장한다. 이들이 벌이는 전쟁이나 내전이 장기간 지속된다. 많은 무기가 유입되자 현지사회는 폭력화된다. (3)'적'이 사라졌다고 생각하면 미국은 동맹국에 대한 지원을 멈추고 손을 뗀다. 때로는 지원을 멈추기만 하는 것이 아니라, 국제정세의 변화에 따라 적당한 명분을 만들어 어제의 동맹국을 오늘의 새로운 적으로 규정하기도 한다. 이런 식의 토사구팽식 외교정책의 대상으로 이슬람 세력이 많이 이용된다. 이슬람 무장단체가 미국에 테러하는 게 이런 까닭. (4)미국이 지원을 멈추고 나면 분쟁지역은 내전 상태로 방치되어 '위험하고 가난한 세계'가 된다.  

한편, 이 책에서는 현대세계의 폭력이 주로 '위험하고 가난한 세계'를 끼고 일어난다는 점 때문에 상대적으로 '안전하고 풍요로운 세계'의 주민들은 국제적 규모의 폭력에 노출되는 상황을 마치 외부로부터 흘러들어온 재앙으로 인식하는 경향이 있다고 말한다. 때문에 '안전하고 풍요로운 세계'는 그들의 평화를 유지하기 위해 방어체계를 강화하고, 때로는 '위험하고 가난한 세계'에 선제공격을 하기도 하며, 심지어는 '위험하고 가난한 세계'를 개조해야 한다는 사고방식마저 품게 된다고. 그러나 저자는 이러한 행태들이 현대세계의 폭력을 극복하려는 인류의 자세 치고는 대단히 이기적인 면이 있다고 지적하면서, '안전하고 풍요로운 세계'란 본디 자기 안의 '위험하고 더러운 요소'를 '위험하고 가난한 세계'에 전가함으로써만 비로소 존재할 수 있다는 사실을 명심해야 한다고 말한다.  

아울러 저자는 국제사회의 폭력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위험하고 가난한 세계'에 국제기구가 적극적으로 개입하여 (1)무력충돌을 막고 (2)치안과 정치 제도를 정비하며 (3)점진적으로 군축을 감행하고 (4)사회기반을 재건해 나가야 한다고 말하면서도, 이 모든 노력이 헛되지 않기 위해서는 근본적으로 '위험하고 가난한 세계' 내부에 만연한 '폭력의 문화'가 근절되어야 한다고 강조한다. 폭력을 만들어 내는 사회구조가 근본적으로 개선되지 않는 한 외부 세력의 개입은 어디까지나 한계가 있다는 얘기다. 

지구 저편 어느 가난한 나라에서 일어나는 전쟁이 오늘 내가 안전하고 평화롭게 하루를 보낸 데 대한 필연적인 반대급부일 수 있다는 것, 국제사회의 폭력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폭력에 찌든 사회구조의 내부적인 변혁이 궁극의 과제일 수밖에 없으며 여기에 시민운동이 중요한 일익을 담당할 수 있다는 것. 너무나 당연해서 간과하게 되는 명제들을 절실하게 곱씹어보게 해주는 책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