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홍차에 관심이 생겨 네이버 블로그들을 이리저리 돌아다니다 내린 결론인데, 확실히 홍차, 그릇, 바느질, 요리, 인테리어 따위의 키워드를 공유하는 사람들은 뭐랄까 유사한 라이프스타일을 중심으로 그들만의 독특한 무리를 형성하고 있는 것 같다. 갓 결혼 했거나 미취학 자녀를 둔 전업주부가 대부분인 그녀들의 일상은 대략 다음과 같다. 아침에 일어나면 아이들을 유치원에 보내고 남편을 출근시킨 뒤 따스한 오전의 햇살을 쬐면서 여유로운 시간을 갖는다. 향초를 켜놓고 마리아쥬 초코 민트를 마시며 인테리어 잡지를 탐독하고 가끔은 아이들 유치원 선생님께 선물할 쿠키를 굽고 마룬쨈을 만들고 티매트를 만들고 기타 등등. 

한국의 마샤 스튜어트를 표방하는 이들의 블로그는 흡사 광고 카탈로그를 연상케 한다. 나는 이들이 필경 각종 인테리어 및 주부 잡지를 과도하게 섭렵한 나머지 불행히도 뇌구조가 그쪽으로 변형되어버렸을 거라는 추정을 해본다. 마치 소설을 너무 많이 읽은 데 대한 부작용으로 자꾸만 일기가 소설처럼 쓰여지는 경우처럼. 인간의 일상에 이끼처럼 끼어있는 낡고 구차하고 구질구질하고 가난한 것들이 이들의 블로그에는 흔적조차 존재하지 않는다. 화장실 하수구에 엉겨붙은 머리칼처럼 삶에 필연적으로 잔존할 수 밖에 없는 어떤 것들이 이 여자들의 일상에서는 모조리 제거되어 있다. 철저히 소독된 일상! 그들의 블로그에서는 락스 냄새가 난다.  

그들은 관념성의 추구라든지 지적 열락이라든지 생의 본질에 대한 탐구라든지 정신적인 상승욕구라든지 그런 것 자체에 대한 관심이 애당초 없는 것 같다. 니체의 표현대로 삶의 바다 위에 떠 있는 얇은 기름 같은 여성들이랄까. 그들은 그저 맛있는 것을 해먹고 집안을 예쁘게 치장하고 감칠맛 나는 쿠키를 구워서 선물하고 예쁜 찻잔을 사서 아름답게 세팅해놓고 사진을 찍을 뿐이다. 솔직히 말하자. 나는 그들이 저속하고 말초적이고 열등하다고 생각하며, 어떤 면에서는 경멸스럽다. 그러나 동시에 나는 그들이 부럽다. 소독 과정을 마친 인공적 일상이라는 걸 알고 있으면서도 마치 금방이라도 모델하우스에서 막 튀어나온 듯한 그들의 일상이 견딜 수 없이 부러운 것이다. 그들의 블로그는 확실히 내게 어떤, 매혹적인 환상을 심어주는 것 같다.  

그들의 블로그를 유람하면서 어쩔 수 없이 의기소침해진다. 이런 생각도 든다. 일단 여유로운 생활 환경이 보장되어 있고 풍족한 물질적 인프라가 구축되어 있다는 것은, 보다 고차원적인 정신 세계에 입문할 수 있는 가능성을 내포하고 있다는 뜻이 아닐까. 그러나 반대로 기본적인 의식주가 빈한한 속에서 관념과 정신성을 추구하는 것은 얼마나 우스꽝스러운 일인가. 여유로운 생활 환경이 고차원적 정신 세계로 상승할 수 있는 선행 조건이 될 수는 있지만 그 반대는 어려운 게 아닐까? 락스 냄새를 감안한다 치더라도 이 여자들의 의식주는 나의 그것보다 훨씬 윤택하다. 그들이 지적으로 나보다 저열하다 할지라도 그들은 어떤 면에서 나보다 훨씬 우월한 게 아닐까.  

여전히 표면적으로 나는 그녀들을 경멸한다. 그러나 고백하건대 이 글을 쓰는 도중에도 그 경멸의 정당성에 대한 의구심은 점점 더 커져만 간다. 맛있는 요리를 만들어 먹고 쨈을 만들고 퀼트를 하고 집안을 꽃으로 꾸미는 생활이야말로 어쩌면 진정 실사구시적인 삶인지도 모른다. 생활과 도통 하나도 관련이 없는 푸코, 들뢰즈, 지젝, 바디우 따위가 대체 무슨 쓸모란 말인가. (06.9.23에 썼던 글. 그러나 꼭 그렇지도 않았다. 이후로 나는 쨈을 만들어 먹지도 않았고 집안을 꽃으로 치장하는 유난도 떨지 않았으니까. 그 대신 푸코와 들뢰즈의 책을 몇 권 읽었고, 지젝과 바디우는 내게 여전히 알고 싶은 사람들로 남아있다. 지금 생각해보면 인간이란 그저 각자의 환경과 신념과 가치관 속에서 저 나름의 그릇대로 살아갈 뿐인데, 이때는 참으로 비릿한 상념에 휩싸여 괴로워 했던 거 같기도 하고.)


댓글(2)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2009-05-11 12:36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14-03-20 09:42   URL
비밀 댓글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