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만 관중이 운집해 있는 곳에서는, 어떤 이가 한 가지 행동을 취했을 때 그에 대하여 수만 가지 견해와 수만 가지 평가, 그리고 수만 가지 추측이 나올 수 있다. 그 중 진실은 어떤 것일까. 나는 절대적인 진실은 절대적으로 부재하다고 믿는다. 오직 저마다의 진실, 파편 같은 진실이 존재할 뿐이다. 좀더 냉정히 말하면, 그것은 '진실'이라 명명하기에도 보잘 것 없는, 그저 개인의 욕망의 반영일 뿐이겠지만. 그러므로 나의 진실을 너에게 강요하는 것은 하나의 폭력이 될 수 있지 않을까. 그렇다면 우리는 침묵해야 하는 것일까. 그러나 스윙판에서는 그것이 불가능하다. 침묵하는 것은 이미 사교계의 속성을 벗어나는 일이기 때문이다.

 

스윙판이라는 곳은 말하자면 바로크 시대 궁중 사교의 장과 별반 다를 바 없다. 파편 같은 진실들이 날마다 무수한 공명을 만들어낸다. 그래서 흥겨운 재즈 선율의 장막을 걷어내면, 그곳에는 저마다의 진실들이 수챗구멍의 머리칼처럼 미친 듯이 엉켜있는 것이다. 억측과 소문이 난무하고, 뒷담화와 요설이 끊이지 않으며, 오해와 곡해가 음산한 뱀처럼 또아리를 틀고 있는 스윙판에서 우리는 모두가 가해자인 동시에 피해자다. 서로가 서로를 잡아먹고 서로가 서로를 소외시킨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우리가 지옥 같은 스윙판을 떠나지 못하는 까닭은 무엇일까. 이미지의 허상을 부유하는 스스로에게 환멸을 느끼면서도, 혹은 표적이 되어 무수한 화살을 맞으면서도, 가십과 구설수의 핵심 인물이 되어 뜬눈으로 밤을 지새우면서도, 그도 아니면 열심히 춤추고 나서 홀로 집에 돌아오는 길에 가슴 저린 공허에 몸을 떨면서도- 그 모든 비인간적 사태를 감내하며 땀에 절은 스윙화를 꺼내드는 까닭은 무엇일까. 사람 때문에 쓸쓸하고 사람 때문에 상처받으면서 또 다시 사람의 소굴로 찾아드는 이유는 무엇일까. 단지 춤에 대한 미련 때문일까.

 

누군가 그 까닭을 물어본다면, 진부하지만 나는 그래도 사람이 꽃보다 아름다워서라고 말하겠다. 스윙판은 참으로 찬란한 사바세계다. 어쩌면 스윙판에도 프랙탈 구조처럼 소우주가 깃들어있는 게 아닐까. 저마다의 진실들이 수챗구멍의 머리칼처럼 미친 듯이 엉켜있는 형상, 그거야말로 복잡오묘한 만다라이며 눈부시게 다이나믹한 소우주인지도. 며칠 전에 스윙 동호회 '6개월 이후 사람들' 게시판에 처음으로 글을 남겼다. 동호회에서 춤도 배웠지만 인간과 사회도 함께 배운 것 같다고 적었고, 그 세 가지 모두를 동시에 가르쳐준 동호회에 빚진 게 무척 많다고도 적었다. 진심이었다. 그러나 이 역시 나만의 진실일 뿐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