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키아벨리 어록 시오노 나나미의 저작들 8
시오노 나나미 지음, 오정환 옮김 / 한길사 / 2002년 12월
평점 :
품절


마키아벨리가 결코 독재자들의 교본일 수 없는 까닭은, 그가 이렇게 말하고 있기 때문이다. "국가에, 그리고 지도자 개인에게 유해한 것은 끊임없는 탄압으로 사람들의 마음을 공포와 의혹에 몰아넣는 일이다. 그것은 유해를 넘어 위험하다. 인간은 절망적인 공포에 사로잡히면, 자기 몸을 지키겠다는 생각만으로 광포하고 무모한 반격을 하게 마련이다. 따라서 시민을 함부로 형벌이나 탄압으로 억누르는 어리석은 짓을 해서는 안 된다. 사람들이 안심하고 생활할 수 있는 환경을 마련하고, 그들의 마음이 자기 일에만 쏠리도록 해주어야 한다."(정략론 중에서) 그가 독재정치를 위험하게 보는 것은 권력의 남용에서 발생하는 도덕성의 결여라든가 반인도주의적 성격이라든가 등등의 이유 때문은 전혀 아니며, 다만 오로지 그것이 민심의 반발을 야기하여 결과적으로는 광포한 사회적 혼란을 유발할 소지가 있기 때문이다. 바로 이런 사고방식이야말로 진짜 마키아벨리즘 아닐까.

한편 마키아벨리가 군주론을 썼음에도 정체의 문제에 있어서는 기본적으로 공화주의자였단 사실은 다음의 언급에서도 잘 나타난다. "한 개인의 역량에만 의지하는 국가의 생명은 짧다. 제아무리 재능이 뛰어나더라도 그 사람이 죽으면 만사가 끝나기 때문이다. 게다가 선임 지도자의 재능이 승계되는 예는 참으로 드물다. 건전한 국가란 우수한 지도자가 죽은 뒤에도 누가 뒤를 잇든지 그 노선이 계승되어나갈 수 있는 체제가 구축된 국가라고 나는 말하고 싶다."(정략론 중에서) 그러나 마키아벨리가 군주의 역량에 무게를 두는 것 또한 분명한 사실이다. "나는 공화국조차도 원래 개개의 위대한 군주적 기량의 소유자나 조직자의 힘 없이는 만들 수 없다고 생각하므로, 나의 공화주의적 이상은 처음부터 군주주의적 색채를 띠고 있었는지도 모른다."(서신 중에서) 마키아벨리가 이상적으로 생각한 정체는 어떤 것이었을까? 현대의 대통령제가 이에 근접하다고 할 수 있을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