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중세예술 : 형이상학적 해명 ㅣ 조중걸의 서양예술사 시리즈
조중걸 지음 / 지혜정원 / 2015년 12월
평점 :
형이상학적 해명 시리즈의 축약본이라 해도 좋을 <서양미술사 철학으로 읽기>(한권의책, 2013)에서 중세 건축의 고딕 양식을 유명론에 연결시키는 대목이 선뜻 납득이 잘 안 가고 다소 무리한 주장 아닌가 싶었는데 아무래도 지나치게 압축된 내용이라서 그랬던 것 같다. 이 책 중세예술편에서는 보다 체계적이고 면밀하게 그 해명이 이루어지고 있다. 간략히 적어보면
고딕 양식은 그동안 중세 스콜라 철학의 영향을 받았다고 알려져 왔지만 스콜라 철학은 철학의 한 방법론일 뿐 그 자체가 이념은 아니다. 고딕은 실재론에 기반한 로마네스크 양식에 대한 안티테제로서 신앙적 신비주의와 (유명론으로 대두되는) 지적 회의주의를 그 이념으로 갖는다. 실재론적 전통 신학에 대한 문제제기, 즉 이성으로 포착되지 않는 신에 대한 새로운 인식이라는 측면에서 유명론과 신비주의는 한 동전의 양면으로써 전자가 경험과 관찰을 통해 직접적으로 인식할 수 있는 개별자들에게만 의미를 부여한다면 후자는 영감에 의한 주관적 체험에 집중한다.
고딕 양식에 대한 저자의 평가는 유명론에 대한 것 만큼이나 새롭고 놀랍다. 고딕이 고대, 중세 로마네스크, 르네상스에 걸쳐 플라토니즘 이념 하에 있던 라틴 문명에 대한 서부 유럽 최초의 독립 선언이라는 것. 로마네스크와 고딕이 보여주는 양식상의 단절은 기독교와 개신교, 고대와 근대, 합리주의와 경험론이 보여주는 인식론적 격차 만큼이나 극적이라는 것.
고딕 건축의 이념을 규명하는데 대부분의 지면을 할애하다 보니 상대적으로 다른 예술 장르에 대한 언급이 부족한 점은 아쉽다. 바흐 이전의 중세 음악이나 문학 분야도 골고루 다뤄주었으면 좋았을 텐데. 이 책에는 중세 고딕성당의 골조 모형 구석구석을 다각도에서 포착한 사진들이 대거 수록되어 있다. 저자가 직접 금속공예가에게 부탁해서 주문 제작한 것이라고. 이 모형 자체가 귀한 장관이다. 한참을 들여다보게 된다.
※
90쪽 밑에서 9번째 줄: 도시 성당의 승리 선언 --> 도시와 성당의 승리 선언
119쪽 10번째 줄: 구원은 신에 대한 지식에 입각한 그들의 삶이 구성이었으며 --> 신에 대한 지식에 입각한 그들의 삶이 구원의 대상이었으며
140쪽 마지막 줄: 전락된다 --> 전달된다
167쪽 8번째 줄: 처리해야하는 --> 처리해야 하는
265쪽 밑에서 5번째 줄: 지상에 대한 존중과 감각에 대한 경멸 --> 개별자에 대한 무관심, 감각에 대한 경멸 (제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