근대예술 : 형이상학적 해명 2 (로코코, 신고전주의, 낭만주의, 사실주의, 인상주의, 후기인상주의) 조중걸의 서양예술사 시리즈
조중걸 지음 / 지혜정원 / 2014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로코코 특유의 애써 꾸민 듯한 가식성을 유물론적 회의주의의 산물로 보는 견해가 신선하다. 그것은 실체에 닿지 못하는 인간, 이상의 존재 자체에 회의를 느끼는 인간이 스스로 인공적 세계를 꾸며낸 데서 기인하는 가식성이며, 그런 점에서 이 양식은 매너리즘 예술이나 현대예술의 "예술을 위한 예술"의 이념과 동일한 세계관을 공유한다는 것. 로코코 역시 신념이 결여되어가는 '붕괴의 시대'의 예술이며 여기서 오는 회의와 좌절에 대해 매너리즘이 불안으로 반응했다면 로코코는 자기인식적 현실도피로 향한 셈이라고. 로코코에 대해 은연중 갖고 있던 부정적 편견을 재고해 보게 되는 대목이다.

낭만주의에 관한 분석도 심도 있다. 이 사조는 즉자적 자연관을 가지며, 보편에 반하는 개별성과 고유성에 가치를 부여하고, 상상과 직관과 감성에 의해 세계의 유기적인 종합을 지향한다는 것, 아울러 낭만주의는 견고하게 닫힌 체계인 고전주의에 비해 미확정과 변화와 확장 그리고 미지의 대상에 대한 신비감의 요소(숭고미로 일컬어지는)를 갖는 유연한 체계로서 근대국가의 실질적 정치경제 활동의 중추인 중산층의 이념을 반영하는 예술적 표현이라는 것.

미술양식에 대한 대응으로서 로코코에 흄을, 신고전주의에 볼테르와 로크를(경험론과 관념론의 이중기준을 갖는다는 점에서), 낭만주의에 루소를, 인상주의에 베르그송의 생철학을 놓고 비교하는 점, 신고전주의를 위장된 고전주의로 기실은 프로파간다 예술로 치부하면서 이 양식을 거시적으로는 낭만주의 이념의 전개 과정의 일부로 보는 것, 낭만주의-인상주의-표현주의를 일군의 흐름으로 묶어서 감성과 직관을 중시하는 반지성주의 계열로, 사실주의-후기인상주의-형식주의(문학적 양식으로는 사실주의-자연주의-상징주의-모더니즘)를 경험론 계열로 분류하는 점,

신고전주의 시대 이후로 예술이 인식론에서 독립하여 이념으로 옮겨가기 시작하며 보편을 닮기보다 주장을 드러내고자 한다는 점에서 이는 곧 예술의 경험론적 세계관으로의 진입을 의미한다는 얘기, 사실주의가 경험비판론의 예술적 대응물로서 주제나 줄거리와 같은 '의미'보다 심리적 거리두기에 의한 '표현'에서 완벽성을 구한다는 것 그리고 바로 그런 점에서 사실주의는 현대예술의 시초라는 평가, 또한 이 사조가 경주하는 시지각의 공정성이 사회의 계급적 위계를 해체함에 의해 의도치 않게 사회주의에 공헌하는 사조가 되었다는 통찰,

'해체'는 사실주의와 인상주의 사조가 등장하는 근세 말에 이미 벌어진 일이고(전자는 논리•지성적 종합을 도모하는 신고전주의를 해체하고 후자는 감성•직관적 종합을 도모하는 낭만주의를 해체한다는 점에서) 현대는 '요청'의 시대이며 이 요청이야말로 현대의 이념이라는 것, 지성의 붕괴에 봉착하여 후기인상주의가 제시하는 두 가지 삶의 가능성으로서 표현주의와 형식주의를 언급하는 대목(전자는 반지성적이고 무의식적인 모종의 내적 심연에서 새로운 착륙의 토대를 찾고자 하는 것, 후자는 자기인식적 지성을 불러들여 가언적이고 인위적인 질서를 구축하는 것), 그리고 그 갈림길에 세잔을 세우는 것 등등 곱씹어 봐야 할 지점들이 많다.

다만 이 책에서 결코 동의할 수 없는 대목이 한 군데 있어 배암발을 달아야 할 듯- 저자는 들뢰즈, 가타리, 데리다, 바타이유 등의 포스트모던 철학자들도 큰 틀에서는 미술양식에 있어서의 표현주의와 같은 계열로 보면서 어찌되었든 지성은 문명 성립의 전제조건이기에 지성을 제거해버린 무정부주의적이고 반질서적인 혼수상태(!) 속에서는 애당초 문명 자체가 불가능하다는 이유로 표현주의자들의 이념은 무책임하고 유치하다고 일갈하는데, 자기 논리와 내적 일관성을 지니고 나름의 자기완결적 체계를 갖춘 모든 현대 철학 이론은 본질적으로는 형식주의로 봐야지 않을까.

어떤 철학 이론이 아무리 표현주의 성향을 보이고 자유분방하더라도 (심지어 논리철학자의 눈에는 끔찍한 혼수상태처럼 보일지라도) 그 또한 '가언적이고 인위적인 질서를 구축'하는 하나의 체계적인 사유라는 점에서는 (그것이 아무리 그 내용에 있어서 해체를 표방한들 존재론적으로는) 형식주의에 가깝지 않을까. 히피 철학이 펄럭이는 유령의 환영 같다면 영국 신사들의 철학은 도무지 유도리라곤 없는 고루하고 뻣뻣한 샌님 같고 결정적으로는 둘다 덤앤더머의 삽질이란 점에서 진배없어 보인다. 괴테가 메피스토펠레스의 입을 빌려 말하지 않았던가. 모든 이론은 회색이며 영원한 것은 오로지 저 푸른 생명의 나무라고.



117쪽 밑에서 2번째 줄: 지기 --> 자기
165쪽 밑에서 2번째 줄: 신고주의 --> 신고전주의
378쪽 밑에서 6번째 줄: 그러나 --> 그러니
415쪽 3번째 줄: 나누는 보는 것 --> 나누어 보는 것
480쪽 밑에서 6번째 줄: 대상 일반을 찾아야 하면 --> 대상 일반을 찾아야 한다고 생각했으며
483쪽 밑에서 1번째 줄: 가공적 세계와 실재를 대체 --> 가공적 세계가 실재를 대체

댓글(0)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