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의 친구 마키아벨리 시오노 나나미의 저작들 2
시오노 나나미 지음, 오정환 옮김 / 한길사 / 2002년 6월
평점 :
구판절판


관료 시절의 마키아벨리가 통과했던 정치적 격변의 현장이 생생하게 그려진다. 교활하고 냉소적인 인물이 아닌, 자기 일을 사랑하고 우국충정은 뜨거웠던, 어느 평범한 피렌체 시민이었던 마키아벨리의 모습도. 대단한 시오노 나나미 여사. 어쨌든 이 분한테 굉장한 빚을 지고 있다는 사실만큼은 인정해야 한다.

비르투(재능•역량•능력), 포르투나(운•행운), 네체시타(시대의 요구에 합치하는 것=시대성). 지도자에게 필요한 조건으로 마키아벨리가 꼽은 세 가지. 마지막 항목에 관해서라면 철학자로서의 마키아벨리는 시대성에서 완전히 벗어났다고 해야하지 않을까. 그는 르네상스인이 아니다. 근대인도 아니다. 어떤 의미로는 사실상 현대인이다. 더 이상 의미와 가치를 논하지 않고, 아니 애당초 그 어떤 형이상학을 옹립하고자 하는 필요성을 느끼지 않고, 다만 게임의 방법과 기술에 관하여 천착했다는 점에서.

그런데 왜 마키아벨리가 시오노 나나미의 친구인가. 관념론을 배격하는 현실주의라는 점에 있어서의 사상적 친연성과는 별개로 그녀가 마키아벨리에 대해 동질감을 가질 수밖에 없는 처지상의 직접적인 이유 한 가지가 뒷부분에 나온다. 마키아벨리가 썼던 단편 역사소설이 있었고 시오노 나나미의 경우와 같은 이유로 주변의 질타를 받았던 것.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