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랑의 시대
토마스 빈터베르크 감독, 울리히 톰센 외 출연 / 인조인간 / 2017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거리마다 68혁명의 자유분방한 기운이 감돌던 시절, 덴마크의 어느 대저택을 상속받은 에릭과 안나 부부가 지인들을 불러모아 주거생활공동체를 꾸린다. 공동체는 이상적으로 운영되어가는 듯하다. 하지만 얼마 후 에릭의 불륜이 드러나고 안나는 남편의 내연녀까지 공동체 안에 흡수하려 하지만, 평화롭던 공동체는 내연녀의 등장으로 술렁이기 시작하는데 쩜쩜쩜.

 

얼마 전에 본 프랑스 영화 <5 to 7>도 그렇고, 유럽 쪽에선 배우자의 정부와도 돈독한 우정을 나누는 것을 쿨하고 이성적인 자세로, 박애주의를 실천하는 대인배적 자질로, 지향해야 할 바람직하고도 간지나는 태도 쯤으로 여기는 모양이다. 삼각관계의 해법에 있어서 우리나라 일일드라마가 얼굴에 물 뿌리고 머리끄댕이 잡아가며 욕망의 쟁투를 창자까지 꺼내보일 듯 노골적으로 묘사한다면, 내가 본 유럽영화 속 주인공들은 속으로는 비록 피눈물이 흐를망정 겉으로는 공손한 대화를 주고 받는 일요일 아침 교회당의 크리스천 무리 같달까.

 

배우자에 대해 일말의 소유욕도 이성애적 감정도 없다면, 더 이상 섹스하고 싶지도 않고 오로지 순수하게 가족애와 동료애만 남았다면- 넓은 아량과 용기 그리고 약간의 무관심을 발휘하여 상대의 정부까지 포용하려는 시도가 가능할 지도 모르겠다. 그러나 사뭇 관용적이고도 획기적으로 보이는 그러한 관계의 이면은 기실 불안과 혼돈, 긴장과 갈등의 연속일 것이며 무의식의 밑바닥에 서로에 대한 미련과 애증이 조금이라도 고여있다면 안정적으로 유지되기는 매우 어려울 것 같다. 이 영화에서도 안나가 점차 밑도끝도 없이 망가지다가 마침내 공동체를 떠나는 것으로 사태가 마무리되는 걸 보면 역시.

 

계기야 어찌되었든 한 번 신뢰가 깨어져버린 사이라는 것은 여간해선 복구되기 난망한 것 같다. 관계에 앙금이 쌓인 경우라면야 걸러내고 털어낼 수 있지만, 금이 가버린 경우라면, 하아, 그러니까 금이 가버린 경우라면, 애써 부인하거나 은폐할 것도 아니고 관대하게 포용하고 인내할 것도 아니라, 그만 초연하게 돌아서는 편이 지혜로울지 모른다. 그리고 그럴 땐 도마뱀이 제 꼬리를 잘라내듯이 단호해야 한다. 세상은 넓고 남자는 많으며 사랑은 세계의 실존을 낭만적으로 체감하는 유일한 방도로서 일생에 걸쳐 계속되어야 한다고, 그리고 세상의 모든 여자는 자신이 아름답다고 믿는 만큼, 딱 그만큼 실로 아름답다고, 공동체를 떠나는 안나의 쓸쓸한 뒷모습을 향해 외치고픈 말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