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 여름에 철학아카데미에서 데리다의 [그라마톨로지에 대하여] 강의를 했습니다.
원래는 12강으로 [그라마톨로지에 대하여] 강의를 모두 끝내려고 했는데,
번역본들에 워낙 문제가 많아 번역을 수정해가면서 꼼꼼하게 읽다 보니까 절반도 채 진도를 못나갔네요.
1996년에 민음사에서 출판된 김성도 교수의 번역본은 말할 것도 없거니와,
이번에 강의 참고본으로 채택한 김웅권 교수의 [그라마톨로지에 대하여](동문선, 2004)나
2010년에 개역본으로 출간된 김성도 교수의 [그라마톨로지](민음사, 2010) 모두
많은 문제를 내포한 번역본입니다. 이 후자의 두 번역본 역시 거의 질적인 우열을 가리기가 어려울 만큼
심한 오역들로 훼손되어 있습니다.
[그라마톨로지에 대하여]를 한글본으로 제대로 읽기 위해서는 새로운 번역본이 꼭 필요합니다.
언제 새 번역본이 나올 수 있을지 모르겠지만,
기존의 번역본들은 데리다의 의도나 논의의 흐름을 전혀 따라가지 못하고 있습니다.
참 안타까운 일입니다.
아무튼 이런 이유 때문에 2학기에도 [그라마톨로지에 대하여]를 계속 읽기로 했습니다.
2학기에는 2부 2장인 "이 위험한 대체보충 ..."에서부터 읽기를 시작합니다.
관심 있는 분들은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
1강. 2부 2장. ‘이 위험한 대체보충 ...’
2강. 2부 2장. ‘이 위험한 대체보충 ...’
3강. 2부 3장 1절. 언어기원에 대한 시론의 위치
4강. 2부 3장 1절. 언어기원에 대한 시론의 위치
5강. 2부 3장 2절. 모방
6강. 2부 3장 2절. 모방
7강. 2부 3장 3절. 분절
8강. 2부 3장 3절. 분절
9강. 2부 4장. 대체보충에서 원천으로
10강. 2부 4장. 대체보충에서 원천으로
강의와 관련된 좀더 자세한 사항은 철학아카데미 홈페이지를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http://www.acaphilo.or.kr/xe/lecture_2_2/143186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