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출처 : 숨은아이 > 기자 등록 신청서에 본적, 학력까지? @.@

한나라당 인터넷신문 출입기자들의 '한밤의 비밀회동'
박형숙 기자
안녕하세요. 한나라당을 출입하고 있는 정치부 박형숙 기자입니다.

인사이드를 통해서는 독자 여러분을 처음 뵙습니다. 뭘 쓸까 고민하다가 설 연휴 직전 충북 제천 풍광수려한 청풍호반에서 겪은 야사(夜史)를 떠올렸습니다.

아시는 분은 아시겠지만 2월 3∼4일 한나라당은 그 좋은 장소에서 소속 의원들이 참석하는 연찬회를 열었습니다. 의제는 한나라당 선진화 방안. 개혁보수냐, 중도보수냐, 실용보수냐(김용갑 의원은 '세계화 보수'를 주창하기도 했습니다만) 등 보수 앞에 붙일 수식을 놓고 의원들은 노선투쟁을 벌였지요.

당시 보도된 기사 중에는 의원들의 격론이 주를 이뤘지만 인터넷신문들은 그 와중에도 < KBS 시사투나잇>을 비롯해 인터넷신문에 대한 한나라당 대변인실의 '박해'를 보도했습니다. 긴 설명은 줄이겠습니다. 포탈에서 '한나라당 비판언론 취재거부'를 치면 당시 기사들이 줄줄이 뜰테니까요.

한나라당은 연찬회 취재와 관련 인터넷언론의 '신청'은 받았지만 '접수'하지는 않았습니다. 장소가 좁다는 것이 그 이유였습니다. 나중에 현지에 가서 확인했지만 기자실 부스는 85개였고 모여든 기자는 100여명이었으니 그 이유가 틀린 말은 아닙니다. 인터넷신문은 총 13개사, 20여명이 갔으니 '우리만' 빠지면 되는 '사이즈'였습니다.

신청을 받든 안받든 인터넷기자들은 모두 충북 제천 연찬회 현장으로 갔습니다. '편의제공'에 해당하는 숙박과 차량은 자체 차량을 동원하거나 별도 예약을 통해 해결했지만 막상 기사작성과 송고를 방해하는 행위에는 '뚜껑'이 열리지 않을 수 없었습니다.

저와 프레시안 기자는 그나마 일찍 도착해 유선전화기가 놓여있는 기자실 구석 테이블을 차지해 앉았지만 그렇지 않은 타사 인터넷 기자들은 빈자리를 찾아 '메뚜기'를 하거나 한 좌석에 서너 명이 앉아 원고를 작성했습니다. 어떤 기자들은 아예 '복도'에 나가 티테이블 위에 노트북을 펼쳐놓고 '속편하게' 일했습니다.

'초(秒)간지' 기자인 덕에 상황이 발생하는 족족 기사를 작성해야겠기에 제 등뒤에서 한나라당 대변인실 관계자와 싸우는 인터넷기자들의 고성과 볼멘소리가 들렸지만 야속하게도 돌아볼 새가 없었습니다. 연찬회장과 기자실을 오가며 복도에서 마주칠 때마다 서로의 형편을 주고받는 수준이었습니다.

한 타사 후배기자는 저에게 와서 울먹거리기도 했습니다. 이 기자는 의자라도 들여 기사작성을 하려고 했지만 한나라당 당직자는 "좁다"며 의자반입을 막았다는 것입니다.

당직자: (기자실) 좁다.
기자: 좁지 않다. 자리 남는 거 봐라.
당직자: 다른 기자들 노트북 없어지면 어떻게 하냐.
기자: 내가 다른 기자들 노트북 가져간단 얘기냐.
당직자: 관심 없냐.
기자: 말 삼가라. 폭언에 취재방해다.


이 기자는 "이런 취급은 처음 당해본다"며 서러움을 호소했습니다. 옆에 있던 다른 기자도 거들었습니다. 그 기자 역시 "랜선을 잠시 쓰려고 하는데 IP주소도 알려줄 수 없다고 하더라"며 분통을 터뜨렸지요. 그래서 저는 "오늘 취재가 끝나고 우리 방에서 한번 모이자"고 제안했고, 자정을 훌쩍 넘긴 시간에 인터넷신문 기자들은 오마이뉴스 숙소에 모여 앉았습니다.

오마이뉴스를 비롯해 프레시안·미디어오늘·이지폴·데일리서프라이즈·여의도통신·민중의 소리·프로메테우스 소속의 기자 10여명이 모였습니다. 소식을 어찌 알았는지 인터넷한겨레 기자도 뒤늦게 '관전자'로 합류했습니다.

한나라당 출입 인터넷신문들은 처음 그렇게 한 자리에 모였습니다. 서로 겪은 일들을 주고받던 도중 한나라당의 인터넷 '처사'가 중구난방이라는 사실을 알게 되었습니다. 미디어오늘, 데일리서프라이즈, 민중의 소리 등은 등록기자가 아니라며 기자실 출입 자체를 제지당했지만 오마이뉴스와 프레시안은 제지를 당하지는 않았습니다.

또 한 인터넷신문은 등록사였지만 '인터넷신문에 취재협조를 할 수 없다'는 형평성에 묶여 피해(?)를 본 사례였습니다. 아마도 미디어오늘이 연찬회 전 "한나라당 인터넷신문 취재거부"라는 대문짝만한 기사를 쓰지 않았다면 이 인터넷언론의 연찬회 취재 신청은 받아들여졌을 것입니다.

결론은 한나라당의 인터넷신문 등록기준이 '무(無)기준'이라는 것에 모아졌습니다. 특히 치사한 것은 당 일정과 대변인 브리핑 등이 담긴 핸드폰문자와 이메일을 이용한 통신서비스를 통해 '우호 매체' '비우호 매체'를 차별한다는 것입니다.

당 공식 일정 외에도 의원들은 대변인실을 통해 기자 전체에게 보도자료를 보내거나 개인일정을 통보합니다. 의원들은 전체 기자들에게 보내졌을 것이라고 알고 있지만 대변인실을 통해 비판언론은 걸러집니다. 그래서 종종 '물'을 먹기도 합니다. 저 역시 한나라당 의원들로부터 "어, 박 기자 그 자료 못받았어? 왜 간담회에 안왔어?"라는 질문을 받곤 합니다.

그날 인터넷신문의 '한밤의 비밀회동'은 새벽 2시가 넘어 끝났습니다. 다음날 연찬회 취재일정이 남아 있는 관계로 '첫만남'에 만족하고 흩어져야 했습니다. 하지만 저는 남아 있는 일정이 있었습니다. 한나라당 대변인 행정실의 당직자들이 저를 기다리고 있었습니다. 인터넷신문들이 관련 기사를 쏟아내고, 의원들까지 나서서 "졸렬하다"고 비판하니 대변인 행정실도 '해명모드'에 돌입한 것이었을까요?

동료 사진기자와 함께 내려가 그들과 약 30분간 얘기를 나눴습니다. 그들도 이런저런 고충을 토로하더군요. 그들 역시 '지시'를 받는 실무자인 처지라 얼굴을 크게 붉히지는 않았습니다. 그날 만남의 성과라면 "앞으로 인터넷신문에 대한 '등록기준'을 마련하겠다"는 답변을 얻어냈다는 것입니다.

10여 일이 지난 현재, 이런 저런 얘기가 들립니다. 국회 등록된 매체를 기준으로 하겠다는 말도 나옵니다. 현재 국회 등록된 인터넷신문은 오마이뉴스, 프레시안, 미디어오늘, 이윈컴 등 4개사입니다. 하지만 한나라당이 국회 기준을 준용할지는 미지수입니다. 현재 한나라당에는 등록이 되어 있지만 연차가 짧아 국회에는 등록이 안된 '우호매체'들이 있기 때문입니다.

저로선 디지털정당을 표방하는 한나라당이 어떤 결론을 내릴지 기다려 볼 밖에요. 참, 며칠 전 대변인실에서 저에게 작은 종이 한 장을 내밀며 등록 신청서를 쓰라고 하더군요. '출입기자 프로필'이라는 제목의 신청서였습니다.

항목은 다음과 같습니다.

언론사명, 성명, 주민등록번호, 본적, 현주소, 학력(출신고교·대학(학과)·대학원), 이메일, 자택번호, 핸드폰, 본인생일, 정치부 출입 연차, 친분 있는 정치인.
2005년 2월 15일
ⓒ OhmyNews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