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대선 이후의 한반도 정세와 대응방안

2004년 11월 10일
오전 10시/ 국가인권위원회 배움터

부시의 재선 성공 이후, 한반도 정세에 대한 여러 전망이 나오고 있습니다.

부시 당선 직후의 여러 흥분을 넘어 이제 논의는

그 전망에 따른 우리, 한국 시민사회의 역할이 무엇인가에 모아지고 있습니다.


이에 평화네트워크에서는 11월 월례포럼의 주제를 '미국 대선 이후 한반도 정세와

대응방안'으로 잡고,

미국의 대북정책 전망과 이에 따른 북한의 대응 전망, 이에 따른 한국 정부와 시민사회

의 과제까지 전문가들과 함께 집중적으로 논의해보고자 합니다.


여러분의 많은 관심과 참석 부탁드립니다.

일시 : 11월 10일(수) 오전 10시-오후 1시

장소 :
국가인권위원회 배움터

주최 :
평화네트워크

프로그램

사회 : 함택영(경남대 북한대학원 교수)

토론자 :

전재성 (서울대 외교학과 교수) - 미국의 대북정책 전망

피터 벡 (국제위기감시기구 소장) - 6자회담 평가와 과제

고유환 (동국대 북한학과 교수) - 북한의 대응 전망

정욱식 (평화네트워크 대표) - 한국 정부의 과제


그 밖의 다른 자료들도 평화네트워크 홈페이지(http://www.peacekorea.org/)에서 보실 수 있습니다.

일시 : 11월 10일(수) 오전 10시-오후 1시

장소 :
국가인권위원회 배움터

주최 :
평화네트워크

프로그램

사회 : 함택영(경남대 북한대학원 교수)

토론자 :

전재성 (서울대 외교학과 교수) - 미국의 대북정책 전망

피터 벡 (국제위기감시기구 소장) - 6자회담 평가와 과제

고유환 (동국대 북한학과 교수) - 북한의 대응 전망

정욱식 (평화네트워크 대표) - 한국 정부의 과제


그 밖의 다른 자료들도 평화네트워크 홈페이지(http://www.peacekorea.org/)에서 보실 수 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