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 하나 하겠습니다.
제가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에 근무하는 동료 선생님들과 함께 오는 6월 15일 금요일에 "탈근대, 탈식민, 탈민족-포스트담론 20년의 성찰"이라는 제목으로 학술 심포지엄을 개최합니다.
이 심포지엄은 저와 두 분 선생님이 함께 운영하는 "도래할 한국 민주주의"라는 기획연구팀이 기획, 개최하는
심포지엄입니다. 1회 심포지엄은 작년 11월 "최장집의 한국 민주주의론"이라는 제목으로 개최된 바 있고
이 번이 두번째 심포지엄입니다. (첫번째 심포지엄 발표문들과 추가 논문들은 최장집 교수의 답변과 함께 묶여 올 가을에 책으로 출간될 예정입니다. 두번째 심포지엄 발표문들 역시 내년에 책으로 내려고 계획하고 있습니다)
관심 있는 분들의 많은 참여를 바랍니다.
-----------------------------------------------------------------------
탈근대, 탈식민, 탈민족―포스트 담론 20년의 성찰
* 기획 취지
한국 지식사회에 포스트 담론이 본격적으로 수용되기 시작한지 20여 년이 되었다. 1987년 6월 항쟁과 7․8․9 노동자대투쟁으로 정치적 민주주의가 제한적이나마 일정하게 성취되고, 1989-90년 현실 사회주의 국가들이 실질적으로 몰락함으로써 맑스주의를 비롯한 좌파 이론과 사상이 위기를 겪고 퇴조한 이후, 포스트 담론은 다양한 분야에서 현대 문명과 현존 사회 질서를 포괄적으로 성찰하고 비판하는 주요 준거틀로 기능했으며, 지난 20여 년 동안 철학, 사회학, 역사학, 정치학, 국문학 등 인문사회과학 전반에 걸쳐 광범위한 영향력을 발휘해왔다.
하지만 포스트 담론에 관한 주목할 만한 비평과 토론은 사실상 거의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이는 그 수용 초기에 나타난 바 있는 포스트 담론에 대한 원색적인 비판과 자못 심각했던 논쟁을 상기해볼 때 역설적인 현상이 아닐 수 없다. 한국 지식사회는 외양적으로는 포스트 담론의 수용에 관해 다양한 거부의 몸짓을 취했지만, 그 내면을 살펴보면 지난 20여 년 동안 마치 가랑비에 옷 젖는 줄 모르듯이 서서히 포스트 담론이 스며들었음을 부인하기 어렵다. 돌이켜보면 그것은 굳이 ‘포스트’라는 명칭을 붙일 필요가 없는 자연스런 과정이었던 것처럼 보이기도 하는데, 이는 한편으로는 포스트 담론이 갖춘 지적인 힘의 효과일 수 있지만, 다른 한편으로는 비판적인 활발한 논쟁과 토론의 부재를 반영하는 것이기도 하다.
따라서 포스트 담론이 도입된 후 20여 년에 이른 오늘날, 한국 인문사회과학에 상당한 영향력을 행사하며 스며들어온 포스트 담론을 총괄적으로 평가하고 성찰하는 장을 마련하는 것은 시의적절한 일이 아닐 수 없다. 이는 한국 지식사회의 전반적인 지형도를 다시 그려보고, 현시점에서 한국학 연구가 나아가야 할 방향과 과제를 점검하는 데 필수적이다. 이 학술심포지엄은 그동안 한국학 분야의 새로운 논의를 주도했던 포스트 담론의 공과를 따져보고 새로운 연구 방향을 모색하기 위한 논의의 장이 될 것이다. 특히 서양 인문사회과학 연구자들과 한국학 연구자들 사이에 상호 소통할 수 있는 기회와 장을 마련함으로써 한국학 연구를 한 단계 도약하도록 하는 데 일조할 수 있으리라 기대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