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한국, 테러당한 후 테러전쟁 의지 더 강해져"

美국무부, 철군 시작한 필리핀 맹성토하며 "한국을 배워라" 주장

 

  미국이 자국민 석방을 위해 이라크 파병군를 철수를 시작한 필리핀 정부에 대해 연일 노골적인 협박발언을 계속하는 동시에, “필리핀처럼 자국민 위협이라는 같은 상황에 처했던 한국 등의 나라는 (자국민이 납치후 피살된 뒤) 오히려 납치범들의 잔인함을 이해하면서 테러와의 전쟁에 대한 의지가 더 강해졌다”고 주장했다.
  
  필리핀의 철군 결정으로 국제사회에서 치명적 타격을 입은 '테러와의 전쟁'을, 자국민 피살에도 불구하고 추가파병을 강행하는 한국 정부를 앞세워 만회하려는 심보인 셈이다.
  
  하지만 이같은 미국 주장은 고 김선일씨 피살 사건후 높아지고 있는 한국의 파병철회 여론을 조작하는 것인 동시에, 앞으로 한층 한국이 중동 무장저항세력의 주된 공격목표가 되도록 만드는 부작용을 낳을 수 있다는 점에서 비판을 자초하고 있다.

  바우처 “필리핀 철군 결정, 양국관계 영향 있을 것”
  
  리처드 바우처 미국 국무부 대변인은 14일(현지시간) 브리핑에서 ‘미국의 대테러리즘 정책과 테러범 요구에 응하지 않는다는 정책에 반하는 필리핀 정부의 결정이 미-필리핀 양국관계에 영향을 미치느냐’는 질문에 “지켜봐야 할 것”이라고 답해, 향후 필리핀에 대한 보복 가능성을 시사했다. 그는 이같이 답하며 “필리핀 정부의 결정은 전혀 예상되지 않던 결정”이라고 말해, 당혹감과 불쾌감을 감추지 못했다.
  
  미국의 이같은 반응은 필리핀 정부가 이라크 주둔 자국군의 철수를 시작한 후에 나온 것이다. 델리아 알버트 필리핀 외교장관은 14일 “필리핀군은 이미 이라크에서 철수중”이라며 “철수가 진행되고 있는데 따라 현재는 51명 가운데 43명만이 남아있는 상태”라고 밝혔었다.
  
  바우처 대변인의 이같은 분노는 앞서 13일 가진 브리핑에서도 필리핀 외무차관이 납치저항세력의 ‘조기철수’ 요구를 받아들이겠다는 입장을 밝히자, “외무차관의 성명 발표에 실망했다”며 “이는 납치단체에 잘못된 신호를 주는 것”이라며 즉각 철회를 요구했다가 거부된 데 따른 것으로 보인다.
  
  바우처 대변인은 실제로 14일 브리핑에서 재차 “필리핀 성명에 실망했다”며 “이는 잘못된 신호를 주는 것이고 테러범들에 강한 태도를 보이고 그들이 우리 행동에 변화를 주지 못하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며 필리핀 정부를 맹성토했다.
  
  “한국, 납치범 잔인함 이해하고 테러전쟁 의지 더 강해져” 주장
  
  바우처 대변인은 여기서 멈추지 않고 고 김선일씨가 피살된 한국과 13일 자국민 인질이 살해된 불가리아, 3명이 인질로 잡혔다가 풀렸났던 일본 등을 거론하며 ”이들 국가들도 자국민이 위협받는 비슷한 상황에 처했었다”며 필리핀을 재차 비판했다.
  
  그는 “그러나 이들 국가들은 납치범들의 잔인함과 해악, 야만성을 이해하고서 테러와의 전쟁에 대한 의지는 더욱 강화됐다”며 “많은 나라에서 테러에 대한 반작용으로 결의는 더욱 강화됐으며 테러범들이 누구인지, 왜 싸워야 하는지 등에 대해 더욱 잘 이해하게 됐다”고 주장했다.
  
  하지만 이같은 미국 주장은 고 김선일씨 피살 사건후 높아지고 있는 한국의 파병철회 여론을 조작하는 것인 동시에, 앞으로 한층 한국이 중동 무장저항세력의 주된 공격목표가 되도록 만드는 부작용을 낳을 수 있다는 점에서 비판을 자초하고 있다.
  
  그러나 미국이 이같은 억지주장을 펴는 이면에는 고 김선일씨 피살위협에도 불구하고 즉각 이라크 추가파병 방침을 재확인한 한국 정부나, 최근 방미과정에 국무부 등 미국 정부측에 저자세 외교로 일관한 열린우리당 신기남 의장 등의 영향도 적지 않은 것으로 풀이되고 있다.

   
 
  김한규/기자


댓글(1)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balmas 2004-07-15 14:55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노무현과 신기남이 보면 매우 반길 만한 소식.
"영광스럽게도 미 국무부에서 우리를 칭찬했다!!"라고 만면에 미소를 머금으면서.
오늘 청와대 브리핑에서는 이 소식을 안 다루나? 청와대 홈페이지라도 가봐야할 듯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