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업·실적용' 출판 범람...5백부만 넘겨도 대박
반론 : 학술출판에 대한 저자들의 오해
2004년 06월 24일 박성모 소명출판
박성모 / ‘소명출판’ 대표
지금 우리에게 학술출판은 어떤 의미일까. 어느 일방의 측면과 범박한 오해로 누더기가 되고 또 고정관념으로 뭉뚱그려져 각주 달린 책 또는 그럴 듯한 제목으로 학문의 외피를 입은 출판이 아니라, 진정으로 학문과 출판이 만나서 하나를 이루는 일, 그 현장에 대한 이해는 진정 없는 것인가. 6월 7일자 ‘교수신문’의 ‘안목 갖춘 편집자와 소통하고 싶다’를 읽고 새삼스레 드는 생각이다. 오해의 첫 단추는 어디서 시작됐으며 또 지금 여기의 학술출판은 어디로 가는 것일까. 답답함에 몇 가지 생각을 추슬러 본다.
번역자의 역할과 출판사의 역할을 구분해야
먼저, 가장 긴밀해야 할 출판사와 저자 사이에 건너기 힘든 깊은 강이 가로 놓였다는 생각을 지울 수가 없다. 부정할 수 없는 것은 저자와 출판사가 서로의 역할에 대한 엇갈린 이해를 가지고 있다는 것이다. 예컨대 저자들은 출판사의 전문교정능력 부재를 지적한다. 옳은 말이다. 내가 근무하는 ‘소명출판’ 역시 이 문제는 늘 더부룩한 체증과 같은 부담이다. 그럼에도 해법은 쉽게 보이지 않는다. 아직도 일부의 저자는 전문적 원고내용에 편집자가 감히 어디 손을 대느냐고 질타하기도 한다. 반면 또 다른 저(역)자는 교정 차원을 넘어 고난도의 교열을 요구하는 경우도 있다. 이런 극과 극의 요구는 출판 현장에서 낯선 풍경이 아니다. 번역의 경우 출판사로서 감당키 어려운 요구도 따른다. 우리 출판사만 해도 공동번역된 원고에 대한 출판을 진행하다가 반려한 경우도 있었다. 문제의 발단은 이랬다. 중국학 전문가들이 일정 부분씩 나눠 번역한 원고였는데 일관된 원칙에 따라 음가를 통일하는 과제를 출판사가 맡아 달라는 것이었다. 대중적 인지도를 지닌 ‘노신’을 ‘루쉰’으로 통일하는 일은 간단할 것이었다. 그러나 번역자 스스로에게도 낯설고 또 무수한 고유명사가 출현하는 원고에 대한 적확한 음가를 적용하는 일은 중국학 전문가 사이에도 이견이 있을 수 있는 감당키 어려운 난제라 여겨, 출판사에서는 정중히 번역자들의 통일안을 요청했다. 그런데, 그렇다면 출판사는 뭘 하는 곳이냐는 질타가 돌아왔다. 번역자보다 더 높은 수준의 교정과 교열 요구를 출판사로서 끝내 받아들일 수가 없었다.
원고 교정이 끝없는 원고 수정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그런데 출판사에서 레이아웃을 거쳐 조판을 뜨고 교정쇄가 나가면 양상은 달라진다. 끝없는 원고 수정이 그때부터 이뤄진다. 오자와 탈자에 대한 교정이나 최소한의 문장에 대한 의견을 달고 손보는 ‘교열’의 개념이 아니다. 거의 새로 쓰다시피 하는 원고는 말 그대로 편집자를 과로하게 만든다. 깔끔한 교정쇄를 보면 연구 당사자로서 새로이 단점이나 결함이 보일 수도 있다. 이런 경우 당연히 수정하고 다듬어야 한다. 그런 의미의 교정은 출판사에서 당연히 감수해야 하는 몫이다. 그러나 초교에서 수정된 2차 교정지를 다시 초교 만큼 많이 고치는 저자들이 적지 않다면 문제는 근본적으로 달라진다. 너무 쉽게 쓰여진 원고이거나, 자신감 없는 원고다. 이럴 때 출판사로서는 나름의 출판 결정이라는 판단에 대한 뒤늦은 후회가 들만큼 난감해진다. 학술출판에 대한 천박한 이해가 급기야 천박한 출판 풍토를 낳고야 마는 것이다.
‘필요’와 ‘공급’의 우울한 곡선
이렇듯 출판사를 무시하거나 아니면 너무 의존하려 드는 양극단의 입장들이 있다. 그럼에도 학술출판사에 대한 이런 시선과 요구를 근본적으로 해소하기는 불가능해 보인다. 출판사에 따라 요령껏 저자 성향별로 눈치를 살피고 탄력적인 적용을 할 수는 있겠지만 그마저도 쉽지 않은 게 문제다. 지금 대한민국에서의 순수 학술출판은 그 무엇보다도 자생력을 상실했다는 점을 고려해야 한다. 매스컴을 횡단하는 일부 소수 명망가를 제외하고 본연에 충실한 거의 대부분의 학문 종사자들의 연구 결과를 순수하게 출판한다는 것은 지금의 현실에서 매우 회의적이다. 말 그대로 자생력을 상실한 게 어제오늘의 일도 아니거니와 이 문제는 학술출판사의 생존과 직결되는 문제이기에, 그 어떤 오해와 불협화음이 저자와 출판사간에 존재한다고 해도 나는 그것이 우선 순위가 될 수는 없다고 생각한다.
오늘날 학술출판은 최소한의 ‘수요와 공급’의 법칙에 따라 이뤄지지 못하고 있다. 저자의 현실적 ‘필요’와 어쩔 수 없는 ‘공급’이라는 기형적 법칙이 언제부턴가 학술출판가의 현실이 돼버린, 그러니까 이렇듯 우울한 현실이 문제다. 공급은 출판사가 하되 ‘수요’가 없다 보니 ‘필요’에 의해 출판한다는 것이다. 필요는 무엇을 말하는가. 시장의 수요가 없는 상태에서 저자만이 책이 필요한 현실을 말한다.
이런 현실에서 전문 교정능력을 확보하는 일은 거대한 벽이다. 아이러니하게도, 1인 다역으로 출판사 사장이 혼자서 또는 직원 한두 명과 함께 운영하는 출판사의 경우는 사장이 그나마 어느만큼 전공영역을 감당할 만한 경우에 해당한다. 특정 전공분야의 범주 안에서 출판하는 경우가 이 예에 해당할 수 있다. 그러나 대부분의 학술출판사는 교정능력 하나에 있어서도 좌절의 쓴맛을 보고 있다. 그나마 자본력과 전문인력을 확보한 대형 출판사가 학술출판을 성실하게 감당해 주는 길이 있긴 하다. 그러나 이마저도 출판 상업주의에 매몰돼 갓 쓰고 장사한다는 눈초리를 피하기 위한 체면치레에 머무는 정도다. 순수 판매율 5백부를 넘기면 대박인 현실에서 교정은 고사하고 누가 어떻게 학술출판을 감당할 것인가.
사실, 순수 학술출판은 취업용이나 연구 실적용 책을 발간하는 것과 아무런 관련이 없다. 그런데 현실은 그렇지가 않다. 저자로서 학술출판과의 첫 만남은 대부분 박사논문을 출판하는 일로부터다. 그리고 대부분의 경우는 ‘취업용’을 위해 출판사를 찾는다. 또는 이런저런 기회에 발표한 논문들을 한 데 모아 찍는 논문모음집의 형태가 있다. 단단한 주제아래 하나의 연구 결과를 책으로 내 놓는 경우도 있으나, 책을 위한 책이 많다. 또 고도의 연구결과가 집적된 것이 아닌 ‘거기서 거기’인 학습교재들이 있다. 이런 교재성 책은, 다 알다시피 연구서가 아니다. 그럼에도 한결같은 공통점이 있다. 특정 시점에 맞춰달라는 주문이다. 취업용이나 연구 실적용이기 때문이다. 이런 경우 책의 역할은 그것으로 끝이다. 장사는 안되면서 학술출판사가 가장 바삐 움직이는 연유가 여기에 있다. 연구는 길고 출판은 짧다.
안에서 싸워야하고 밖에서는 방어해야 하는 학술출판의 현실, 참으로 진퇴양난이다. 과연 지금 여기에서의 학술출판, 이럴 수도 저럴 수도 없는 ‘원죄’를 안고 있기는 한 것인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