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출처 : balmas님의 "관계론, 대중들, 민주주의-에티엔 발리바르의 스피노자론"
답변이 너무 늦어서 죄송합니다. 그런데 사실 질문들이 상당히 좋고 근본적인 쟁점들에 관한 것이어서, 답글로는 그렇게 할 수 있는 이야기들이 많지 않을 것 같습니다. 제가 사실은 "스피노자와 푸코에서 통치의 문제"라는 논문을 한편 쓰고 있는 중인데, 그 논문에 제기하신 질문 중 일부에 대한 답변이 담길 것 같습니다.
첫번째 질문의 경우가 그런데요, 적대와 갈등을 환원 불가능한 정치의 요소로 사고한다는 것이 장점이 될 수 있느냐라고 질문하셨습니다. 더욱이 [사회를 보호해야 한다]에서는 전쟁으로서의 정치의 문제가 "반동 귀족"인 불랭빌리에와 관련되어 있는데, 어떻게 그것이 장점이 될 수 있느냐고 반문하셨죠. 이 질문에 대해서는 원칙적으로 세 가지 답변만 드릴게요.
(1) 적대와 갈등을 환원 불가능한 정치의 요소로 본다는 것은, 보기에 따라서는 장점이 될 수도 있고 단점이 될 수도 있겠죠. 그런데 글의 맥락에서 제가 이 점을 장점이라고 본 이유는, 바로 이러한 관점 때문에 스피노자의 정치학이 근대 사회계약론의 맹목을 파악할 수 있게 해준다고 생각했기 때문입니다. 사회계약론이 정치의 궁극적인 지평이라고 생각하는 사람들에게는 이것이 당연히 장점이 될 수 없겠지만, 그것이 지닌 한계 내지 이데올로기적 측면에 관심을 갖는 사람들에게는 장점이라고 볼 수 있을 것 같습니다. 물론 이것은 사회계약론 전체를 파괴한다거나 배척한다는 뜻은 아닙니다.
(2) 불랭빌리에에 관한 쟁점인데요, 불랭빌리에는 사실 스피노자주의자였습니다. 프랑스어로 스피노자 저작을 번역하기도 했죠. 이런 점에서 본다면 그를 단순히 "반동 귀족"이라고 보는 건 좀 성급할 수 있습니다.
(3) 스피노자와 푸코의 사상을 전쟁으로서의 정치학, 또는 정치를 갈등과 적대로 보는 두 가지 관점으로 이해할 수 있습니다. 그런 만큼 양자 사이에는 중요한 공통점이 있지만 또 상당한 차이점도 있죠. 두 사람 사이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밝히는 문제는 현대 정치 이론의 쟁점들을 해명하는 데도 꽤 중요한 의미가 있다고 생각합니다.
두번째 질문은, 민주화로서의 스피노자주의가 현재의 상황에서 어떤 의미를 갖는지 질문하셨죠. 그건 한 마디로 답변드리기는 어려운 문제입니다. 다만 제가 질문을 잘 이해했다면, 질문의 핵심 논점은 국가를 어떻게 이해하느냐의 문제와 결부돼 있는 것 같습니다. 곧 국가는 기본적으로 지배의 도구로서 국가장치인가 아니면 국가는 시민들의 자기-통치 제도인가와 관련된 문제죠. 원칙적으로는 두 가지 측면을 모두 포함하고 있다고 할 수 있을 텐데요, 마르크스주의와 자유주의가 공유하고 있는 점은 국가를 지배의 도구로 이해한다는 점입니다. 스피노자가 의미가 있다면 국가의 양면성, 따라서 해방 또는 민주주의의 양면성을 잘 이해하게 해준다는 점에서 찾을 수 있지 않을까 합니다.
마지막으로 번역에 관한 질문을 하셨는데, 그건 오역이라고 하기는 어렵지 않은가요? 왜 그걸 오역이라고 느끼셨는지 잘 모르겠습니다. "스피노자의 사상"이 아니라 "스피노자"라고 해서 그렇게 생각하신 건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