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출처 : balmas님의 "프리즘 총서 첫번째 책-얀 아스만의 이집트인 모세"

오 아주 중요한 지적을 해주셨네요.^^ 맞습니다. 프리즘의 갈래 분류는 얼마간 자의적입니다. 하지만 그 분류를 확정된 경계로 생각하실 필요는 없을 것 같네요. 얼마간 실용적이고 편의적인 분류로 이해하시면 될 듯합니다. 두셀의 저작은 철학적인 것에 들어갈 수도 있고, 탈-근대성에 들어갈 수도 있습니다. 또 다른 저작들도 마찬가지죠. 우물안개구리 님처럼 이 저작들을 상호 연관성의 시각에서 봐주신다면 편집자로서 더할나위없이 기쁘겠습니다.^^

댓글(2)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푸코광신도 2010-02-12 19:36   좋아요 0 | 댓글달기 | 수정 | 삭제 | URL
발마스 님이 추천해주신 로마공화정을 재미있게 읽었습니다. 그런데 허승일이란 분은 알고 보니 랑케광신도입니다. 역사를 신의 의지대로 진행되는 필연적인 과정으로 이해하는 랑케를 이렇게나 사랑하는 분이 있었다니 놀랍습니다. 독자들이 이 분의 책을 읽고 랑케를 사랑하지 않기를 바랍니다. 그럼 새해 복많이 받으시길 바랍니다. 놀러왔다가 인사 드립니다.

balmas 2010-02-13 00:36   좋아요 0 | URL
예 반갑습니다. 종종 들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