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이] 2008-01-19  

저번 이데올로기론과 반폭력 세미나 했던 학생입니다. 이데올로기에 대해 좋은 설명 잘 들었습니다.

근데 몇가지 잘 이해가 안되는게 있는데 1. 알튀세르가 '맑스주의와 인간주의'를 썼던 배경이 스탈린 개인숭배 비판에 대한 반작용(이 반작용의 의미가 잘 이해가 안가고요...)으로 나온 자유화의 바람으로서의 사회주의적 인간주의라고 하셨는데 사회주의적 인간주의랑 자유화의 바람 사이의 관계가 잘 이해가 안갑니다. 이게 왜 스탈린 개인숭배 비판에 대한 반작용인지도 잘 모르겠고요.

2. 알튀세르기 말하길 이데올로기는 현실적 조건과 직접 연관되는게 아니라 상상적(가상적) 관계라고 하셨는데 이 부분이 전혀 이해가 가질 않습니다. 제가 라캉을 잘 몰라서 그런지 모르겠는데 자세하게 설명해 주시면 고맙겠습니다;;;;

감사합니다~!

 
 
balmas 2008-01-20 03:48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첫번째 질문에 대해서는 이렇게 답변할 수 있겠네요. 1953년에 스탈린이 사망한 다음에 그를 계승한 흐루시초프가 소련에서 있었던 스탈린의 "개인숭배"에 대해 비판을 하면서 지속적으로 스탈린 격하 운동을 벌이죠. 그리고 한동안 격렬한 대립 양상을 보였던 미국과 소련을 중심으로 한 서방과 동방의 세력은 62년에 있었던 쿠바 미사일 위기를 계기로 평화공존의 양상으로 점차 변화하게 됩니다. 이러한 평화공준의 양상 속에서 중국은 소련이 마르크스-레닌주의 노선을 포기하고 수정주의를 표방하고 있다고 공개적으로 비난하고 심지어 국경충돌을 벌이기도 합니다. 사실 당시에 소련은 경제에 시장 원리를 도입하려고 시도하기도 하죠.
그리고 이런 변화의 흐름을 타서 동구 사회주의 국가 및 서구 공산당 지식인들 및 무당파 좌파 지식인들 중 일부가 "사회주의적 인간주의"를 제창하게 되죠. 국내에도 몇 권 책이 번역된 적이 있는 아담 샤프, 에리히 프롬, 사르트르 등이 대표적인 인물인데, 이들은 청년 마르크스의 저작에 마르크스주의의 본질이 있다고 보고, 특히 그 이론적인 핵심을 소외론에서 찾죠. 또한 스탈린주의의 문제점은 고압적인 전체주의와 일당 독재, 개인숭배에 있고, 그것은 사회주의의 본질이 아니라고 비판을 합니다.

알튀세르는 실제로 [인간주의 논쟁]이라는 글에서 이들의 논지에 대해 세밀한 비판을 가합니다. 또 공개적으로는 아니지만 소련과 중국의 노선 투쟁에서 중국의 입장을 지지하기도 하죠.

이데올로기에서 "상상적 관계"에 대한 문제는 다음 시간에 좀더 자세히 설명하기로 하죠. :-)

[해이] 2008-01-20 21:46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정말 감사합니다. 그리고 항상 알튀세르와 발리바르의 이데올로기론을 읽을때면 라캉을 잘 몰라서 헤매곤 하는데 다음 시간에 라캉 설명을 살짝 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다음 시간에 뵈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