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제 벤야민 선집 출간 소식을 전했는데,
오늘은 벤야민 선집 번역을 주도한 사람 중 하나인 최성만 교수와의 인터뷰가 실려서
링크해둔다.
http://www.hani.co.kr/arti/culture/book/255627.html
----------------------------------------
한 가지 재미있는 점은 다음과 같은 최 교수의 말이다.
“지금까지 우리나라엔 포스트모더니즘에 천착한 프랑스 쪽 사상의 영향이 컸고 나름대로 좋은 구실을 했다. 문제는 편식 또는 독식이다.” 이번 선집 번역은 “편식을 깨고 균형을 잡는 토대”가 될 수 있다는 의미도 있다고 최 교수는 말했다. 그는 “‘베냐민과 비트겐슈타인’ 조합이 지닌 폭발력은 ‘들뢰즈 또는 데리다와 푸코’ 조합을 능가할 수 있다”며 프랑스에도 큰 영향을 끼친 니체·하이데거· 후설·프랑크푸르트학파 등이 포진한 독일 쪽 사조가 경원당하고 있는 이 땅의 지적 편향을 지적했다.
최 교수의 발언 전후 맥락을 보면, 영문학에 비해 홀대 당하고 있는 독문학의 현실에 대한 자조감과 더불어 불편한
심사를 드러내는 말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내가 이 말이 재미있다고 생각하는 이유는,
불과 몇 년 전만 해도 프랑스 철학 내지 사상은 철학도 사상도 아니라고 준엄하게(?) 꾸짖거나 비아냥댄
사람들 중 상당수는 독일 철학이나 독일 사상이론 전공자들이었는데 이제는 프랑스쪽 사상의 영향력이 너무 컸다고,
편식 운운할 정도가 됐으니, 격세지감이랄까, 그런 생각이 들었기 때문이다.
또 하나 재미있는 것은 "벤야민과 비트겐슈타인"을 프랑스 철학자들과 대결시키려는 발상이다. 앞으로
최 교수의 연구를 좀 주목해봐야겠다. (진심이다.) 독일쪽에서는 "20세기 후반 프랑스 철학 = 낭만주의의 후예"라는
등식이 거의 정설화돼가고 있는 것 같은데(국내에 소개된 페터 지마의 {데리다와 예일학파}나 에른스트 벨러의
{데리다 니체 니체 데리다} 같은 책에서도 이런 관점의 일단을 엿볼 수 있다), 최 교수는 여기서 한 걸음 더 나간 관점을
보여줄지, 아니면 이런 관점을 답습하는 결과를 보여줄지, 기대가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