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opin 2007-04-09  

칸트를 읽기에 앞서서.
발마님이 전에 소개한 책들을 이제 보려고 합니다. 그 전에 오늘 살림지식총서에서 나온 "칸트"를 읽었구요. 제가 수업 받을게 없다보니 과학철학을 수강하게 되었는데요. 교수님이 지나가는 말로, 미학을 하려면 인식론을 마스터 해야 한다고 하던데, 그런가요? 그렇다면 전 대략, 데카르트-칸트-피히테-셰링으로 순차적으로 책을 읽으려 하는데 괜찮은가요? 그리고 이제야 할게 됐는데, Balmas는 발마스가 아니라, 발마라고 읽는게 맞나요? 발마님이 프랑스와 연관이 많은 것 같아서요. 그런데 제가 아는 프랑스 축구선수들은 뒤의 'S'를 발음을 안 하더라구요. 예를 들면 아스널의 수비수인 Galas도 그냥 '갈라'라고 하는 것 같고, 지금은 비야레알로 간 Pires도 그냥 "삐레'라고 부르는 것을 보면, 그냥 발마라고 부르는게 맞는게 아니가 싶은데, 그렇지 않나요? 그게 맞다면 전에는 다른 사람들이 쓴 것을 보고 저도, 그냥 '발마스님=발마라는 이름을 가진 스님'이라 썼는데, 제가 무식했다는 생각도 드네요~~
 
 
balmas 2007-04-10 00:56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미학을 하려면 인식론을 마스터해야 한다는 건, 글쎄요, 어떤 맥락에서 한 이야기인지 잘 모르겠네요. ㅎㅎㅎ 약간 말장난을 해보자면, 그럼 인식론을 마스터하기 위해서는 어떤 사람들은 먼저 존재론을 마스터해야 한다고 할지도 모르고, 또 어떤 사람들은 논리학이나 과학철학을 마스터해야 한다고 할 수도 있을 것 같군요. :-) 아마 미학을 공부하기 위해서는 먼저 철학의 중심 문제들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다는 뜻으로 한 얘기겠죠.
데카르트-칸트-피히테-셀링 순으로 읽는 것은 괜찮은데, 데카르트의 [방법서설] 같은 책은 모르겠지만, 다른 사람들의 책은 기초 지식 없이 직접 책을 읽게 되면 좀 어렵게 느껴질 수도 있을 것 같네요.

balmas 2007-04-10 01:11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그래서 한두 권 입문서를 추천하자면, 우선 데카르트에 관해서는 김은주, [생각하는 나의 발견: 방법서설] 아이세움, 2007을 권하고 싶네요. 제 후배가 쓴 책인데, {방법서설}을 중심으로 데카르트의 사상을 알기 쉽게, 그리고 충실하게 잘 소개한 좋은 책입니다. 칸트와 피히테, 셸링에 관한 입문서로는 강영안, {자연과 자유 사이} 문예출판사, 2001을 추천합니다. 예전에 독일 관념론에 관한 해설서나 연구서가 몇 권 번역된 적이 있고, 또 김상봉 교수의 {자기의식과 존재사유}에 관한 책도 있지만, 입문서로서는 강영안 교수의 책이 더 좋을 것 같습니다. 이 책들을 한번 읽어보고서 데카르트와 칸트, 피히테, 셸링의 책에 도전하는 게

balmas 2007-04-10 01:12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더 좋지 않을까 합니다.
그리고 제 닉네임은 그냥 "발마스"라고 읽으시면 됩니다. ㅎㅎ 불어 이름은 대개 마지막 자음을 발음하지 않는데, balmas라는 이름은 불어 이름도 아니고
제가 얼마간 자의적으로 만든 이름이니까 "발마스"라고 읽으시면 됩니다. :-)

Chopin 2007-04-10 08:55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예~ 고맙습니다. ㅎㅎㅎ