쌍어문다뉴경 외
|
 |
쌍어문다뉴경(雙魚文多紐鏡) 중국 18.3cm '박가분자료관‘소장
|
-꼭지(紐)가 색다른 동경-
동경의 형태를 구분하는데는 원형이나 방형과 같이 그 외형을 기준으로 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 다음으로 꼭지(紐)와 꼭지자리(紐座)를 살펴보거나, 꼭지자리를 감싸는 내구(內區)와 외구(外區)에 들어가는 무늬에 따라 문양별 분류나 명칭을 정하는 기준으로 삼게 된다. 또한 동경의 제일 바깥쪽 부분인 연부(緣部. 테두리)의 높이나 경사도와 너비에 따라 구분을 하기도 한다. 그리고는 청동경에 무늬를 양주(陽鑄)했느냐 채색으로 문양을 그리거나 투조된 문양판을 덧대거나 금이나 은으로 경배면에 상감하여 장식했느냐 감옥(嵌玉)과 유리장식기법으로 만들거나 도금했느냐 금은판을 동경의 배면에 부착했는냐...등 어떤 시문형태가 적용되었는지 살펴보게 된다. 더 나아가서는 거울면이 빛을 받으면 거울 뒷면의 문양이 반대편 벽면에 비치는 투광경이나 길이 1메타가 넘는 어마어마한 크기의 특수경으로 구분해 보게 된다.
사진상 꼬리는 과감하게 생략되고 고기 머리 두 개가 두드러지게 강조된 쌍어문경은 물결을 박차고 튀어 오르려는 역동적이고 대범한 모습이다. 일반적인 동경보다 꼭지가 많다는 의미에서 다뉴경이라 칭할 수 있을 것 같은데, 청동기시대 다뉴경과는 그 쓰임이나 의미 부여를 달리해야 겠지만 국립중앙박물관 소장의 꼭지가 2개 혹은 3개인 소문경(素文鏡)과 비교되어 흥미를 불러 일으키는 유물이다.
|
 |
인물누각비뉴경(人物樓閣碑紐鏡) 원나라 9.8 cm '박가분자료관‘소장
|
또 다른 동경의 꼭지는 처음 보는 비석 형식이라 주목된다.
보통은 원형(圓形)꼭지와 원형을 살짝 눌러놓은 듯한 평두(平頭)꼭지와 거북이처럼 생긴 구형(龜形)꼭지에 활처럼 생겼다 해서 궁형(宮形)꼭지라 부르는 것이 일반적인데 오래전 스치듯 일별한 귀면(鬼面)형 꼭지와 함께 특별한 모습을 하고 있다.
전각과 구름 문양 아래 일곱 사람의 복식과 거북이가 흥미롭고 아직 파악뫃한 세글자의 명문이 있는, 비석인듯 한 꼭지 중간 뒷부분에는 끈을 꿰어서 경가에 걸 수 있는 구멍이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