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주(湖州)경 외

호주팔능형경(湖州八稜形鏡)고려시대 11cm ‘박가분자료관’소장


-명문이 있는 동경-

거울로서의 기능이 상실된 동경이 현대에 와서도 그 가치를 주목받고 있는 이유 중 하나는 금속공예적인 측면에서 일 것이다. 특히 동경의 뒷면에는 각종 문양과 글자가 새겨져 있는데 당시의 금공기술이나 사상,신앙,무늬 및 사회현상을 미루어 짐작해 볼 수 있다.
우리나라에서 고려경이라고 할 때 중국의 한경(漢鏡)이나 당경(唐鏡) 혹은 송경(宋鏡)처럼 특정 시대의 동경이라는 의미 보다는 한반도의 동경을 두루 일컫는 경향이 많았다. 그것은 고려 이전에도 청동기시대 다뉴경이나 신라의 동경이 있었음에도 워낙 고려시대에 동경이 많이 생산되고 널리 애용되었기 때문이다. 또한 고려경이라고 알려진 것 중 상당량이 중국과의 빈번한 교류를 통해 영향받은 것이라고 짐작되는 것들이 많다.
사진상 호주진석가염이숙조자(湖州眞石家念二叔照子)명 경은 꼭지 왼쪽 방형궤안에 명문이 있다. 여기서 '호주'는 중국 소주(蘇州)와 항주(抗州) 등과 함께 당시의 동경 생산지명이고 '진석가'는 진석이란 집안명이며 '조자'는 거울을 뜻하는 것이다.



소주(蘇州)경 고려시대 13.5cm ‘박가분자료관’소장



또 다른 동경은 스물 네 개의 돌기를 가진 형태의 것으로서 소주관출매동기관(蘇州官出賣銅器官)이라는 명문을 갖고 있다. 중국 송대(宋代)나 금대(金代)에는 동(銅) 부족탓으로 동금법(銅禁法)이 시행되었는데, ‘동기관’이란 국가에서 요구하는 동경의 제작 요건을 검사하는 기능을 담당한 관청을 말하는 듯 하다. 관(官)자 아래 메 '산'자 비슷하게 보이는 부호는 검사를 통과한 ‘사인’ 같은 것이라고 여겨진다.
이외 길상의 뜻을 가진 복(福),길(吉),만(卍),희(喜),수(壽)자... 등의 명문을 도안화 했으며 천년만세(千年萬世)나 연년장수(延年長壽)와 장명귀부(長命貴富)... 등 당시 사람들의 바램과 기원을 엿볼 수 있는 것도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