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락지

금, 은, 옥, 칠보로 장식된 가락지를 우리 민족처럼 선호해온 습속은 달리 찾아볼 수 없을 듯하다.

금, 은, 동, 칠보, 비취반지와 가락지이다.(조선조)

가락지는 동서양을 막론하고 그 자체의 재화적 가치도 있지만 맹세, 약속의 징표여서 한층 마음속 깊이 소중하게 치부했다. 예나 이제나 혼인을 약속하거나 재회의 다짐을 할 때는 불변의 물질인 금, 은, 옥가락지로 대신했다. 또 다른 물건들은 잠시라도 몸에서 떼어둘 수가 있지만 가락지는 잠자리에 들거나 목욕을 할 때에도 떠나지 않으므로 소기의 목적에 가장 부합하는 물건이다.

여인이 지닌 여러 개의 가락지들은 모두 나름대로의 애정이 솔기솔기 밴 사람에게서 받은 것이다. 친정어머니, 남편, 시어머니로부터......혹은 귀밑 볼을 붉혀야 될 이로부터 받아서 남몰래 간직한 사연도 있을 것이다. 어떻든 인연을 중시했던 우리 선대들은 이 가락지를 소지하면서 그걸 건네준 사람을 가슴속 불씨로 담아두었으니 어찌 소중하지 않으랴.

살림이 넉넉한 대가집이라면 또 몰라도 대부분의 향반집에선 시어머니가 임종 전에 며느리에게 금가락지와 은비녀를 물려주는 걸 여간 자랑스럽게 생각하지 않았다. 그로써 며느리 구박했던 과거를 다 보상받고, 마지막까지 시혜하는 시어머니의 긍지를 살릴 수가 있었던 것이다. 또 며느리는 며느리대로 비로소 안주인이 되었다는 자족감을 뿌듯하게 누렸다.

가락지의 재료가 되는건 금, 은, 옥만은 아니다. 귀한 것으론 밀화, 비취에서 값싼 것으로는 백동과 구리로 만든 것도 있다. 아무런 문양도 없이 고운 광택을 내는 백옥, 비취도 좋지만, 한 등 뒤지는 금속제도 마냥 푸대접받을 수는 없다. 특히 은, 백동 가락지에는 흔히 박쥐문이 들어가 있는데, 이는 박쥐가 하늘의 사자 또는 복신(福神)의 사자로 인식되었던 데서 연유한다. 또 은에 주황, 청록의 칠보를 입힌 가락지는 얼마나 화려한가. 다른 재료의 가락지가 은근의 미를 드러내는 데 비해 칠보는 찬란한 멋을 발한다. 이도저도 아니라면 들에서 핀 들꽃을 꺾어 꽃반지를 만들어 끼어도 싱그럽다.

가락지

손가락에 끼는 장신구로 주로 혼인예물로 사용

여인은 치장을 함으로써 꽃이 된다. 머리에 댕기를 매고, 손가락에 가락지를 꼽고서야 입이 벙싯거려지는 걸 누가 탓하겠는가?

"한국인의 마음"은 한국인의 전통미와 시인의 감수성이 교감하면서 빚어내는 언어로 쓴 우리 마음의 재발견!입니다. 글쓴이 신중신님은 사상계로 등단한 시인으로서, <호텔 新羅>의 사보와 <현대 精工>사보에 5년간 연재한 에세이를 옮긴 것입니다. 옮기는 과정에서 편의상 전문을 다 싣지 못하고 줄인 점이 안타깝고 죄송스럽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