흰고무신

흰고무신! 그래, 그것은 발을 보호하는 단순한 일용품만으로서가 아니라 무한한 선망의 애완물, 몸과 마음을 하늘 높이 둥둥 띄워올리는 미약(媚藥)으로 여겼던 시대가 있었다. 어쩌면 이렇듯 깨끗하고 가볍고, 탄력성이 있어 편안하고, 때 묻을까 근심되어 남의 시선에서 벗어나면 품속에 품고 가고 싶은 앙증맞은 것-그런 느낌으로 숨막혔던 한때가 있었다.

당혜

조선시대 사대부가의 여인들이 신었던 신발의 일종으로 신코의 뒷축에 당초문을 새겨 넣는다

한반도에는 옛부터 화(靴), 이(履), 혜(鞋)로 구분되는 신발이 있어왔다. <화>는 목이 길어서 방한, 방침(防侵)에 알맞은 북방 계통의 신이고, <이>는 운두가 낮아 발목이나 발등이 드러나는 남방 계통의 신을 말한다.

고분벽화에 말타고 사냥하는 고구려 무사들의 신은 예외없이 <화>에 속한다. <혜>는 원칙적으로 <이>의 한 종류이다. 그러나 조선시대를 통해 양가집에서는 당혜, 운혜의 착용이 일반화되어, 근대화 이후 구두와 고무신이 출현할 때까지 정형화되었으므로 따로 구분해봄직하다. 여하튼 혜와 짚신류는 개화기 이전까지만 해도 우리 민족에게 신발의 주종을 이루어온 것이었다.

당혜(당혜)는 지금의 고무신과 모양이 흡사한 것으로 융같은 푹신한 감으로 형태를 짓고 비단으로 감싼 사치스런 신이었다. 양가집 여인들은 당혜를, 일반 여염집 여인들은 구름무늬가 있는 운혜를 상용했다. 이런 마른신으로서 남자가 신는 것은 태사혜(太史鞋)라 불린다. 이런 신발들은 실용적이기보다 아름다운 장식성이 농후하다.

대다수의 서민층에선 평소에 남녀구별없이 짚신을 상용하였다. 볏짚으로 엮은 이것은 가는 새끼를 꼬아 날을 삼고, 총과 돌기총으로 울을 삼아서 만든 것이다. 볏짚외에도 왕골이나 부들을 재료로 삼은 것도 있다

각종의 <혜>나 짚신은 나룻배의 모양이다. 배가 사람을 태우고 가듯 신발은 사람의 발을 태워 간다는 점에서 일치한다. 그리고 한말 이후에 등장한 고무신도 혜의 감각을 살려 우리 고유의 모델을 창조해낸 셈이다.

여자용 흰고무신은 앞쪽 끄트머리에 외씨 같은 코가 날렵하게 솟아 있고 볼이 갸름하고 길다. 펑퍼짐하다면 미련스러울 테고 두꺼우면 둔탁하게 보일 텐데 마치 카누처럼 밋밋하고 날씬하다. 여자의 발은 볼이 좁아보여야 예쁘기에 너나 할 것 없이 좁은 버선을 신어서 발 모양새를 다듬었다. 꽉 끼는 버선으로 조봇해진 발을 고무신에 갖다 넣으면 꼭 버선발모양 그대로이다. 발바닥 폭이 좁으므로 걸을 때의 착지가 방만해질 수 없으므로 절로 조신성이 몸에 배었겠다.

또 흰 색깔은 순결을 상기케 한다. 하얀 모시옷, 새하얀 옥양목 치마 저고리에는 참으로 흰고무신에 조화를 이룬다. 흰 버선과 고무신은 한번 외출에서 돌아오면 씻어 말리니 그 또한 위생적이다. 고무신에 색색의 선이 가미된 것도 나왔지만 그 본령은 아무래도 장식이 전혀 없는 흰고무신이다.

당혜

오늘날에도 애경사(哀慶事)에는 여인들이 한복에 흰고무신을 착용한다. 한복에 구두 차림은 갓 쓰고 지게를 진 것만큼이나 어색하고 균형이 없다. 특히 상사를 당해서 여인들이 화장기 없는 얼굴에 거친 흰옷과 흰고무신을 신은 모습이 정겹다고들 한다. 혹은 봄바람에 귀밑머리카락을 날리며 흰고무신 차림으로 걷는 여인의 자태는 무척 고혹적으로 바라보인다고도 한다.

이는 무엇을 뜻하는 걸까. 그 모습에서 우리 옛 여인의 전형이 일별되고 향수가 묻어 나오기 때문일 게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