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듬잇돌

요즘에는 한복보다는 양복이나 양장이 더 흔하고, 귀해진 한복들의 천도 거의가 다듬이질이 필요 없는 모직이나 화학섬유들이라 다듬잇살이 고운 한복을 보기가 어렵게 된 것은 오히려 당연한 일이다. 현대 생활에 강요된 합리와 능률의 여덕으로 그 자리와 구실을 빼앗긴 것이 다듬잇돌이다........

다듬이돌 네 발은 다듬이돌의 무게 뿐만 아니라 온 땅덩어리를 이고도 끄떡이 없도록 힘차다. 힘찬 네 발과 몸 사이는 돌을 쪼아 내어서 알맞은 공간으로 남겼고 그 위에 다듬이잇돌판은 펑퍼졌다.

불끈 짠 정갈한 물행주로 닦으면 까맣게 반질거리는 다듬잇돌 위에 자주, 노랑, 잇빛, 연두 따위로 물들인 명주나 눈발 같이 흰 무명을 얹고 할머니와 어머니 또는 어머니와 누나가 마주앉아 밤을 지새우며 다듬이질을 하는 방망이소리를 자장가 삼아 들으며 잠든 추억을 되새길 수 있는 중년층은 얼마든지 있을 것이다. 귀를 귀울이면 다듬잇돌과 대추나무나 박달나무다듬잇방망이가 무명이나 모시나 비단을 사이에 놓고 맞부딪는 소리 속에서 소음이 아닌 화음을 쉽게 알아차릴 수가 있다.

다듬이돌 다듬이돌에 대한 정성과 마음쓰임이 어떠했던가는 다듬이질을 하다가 돌을 많이 치면 여자의 팔자가 거칠어진다는 속신이 있었던 것으로도 짐작이 가는 일이다.

언제까지나 그칠 줄 모르는 다듬잇소리에서 알아차릴 수 있는 것이 어디 그뿐이겠는가. 다듬이질을 하는 천의 얇고 두꺼움을 알 수 있는 것은 말할 나위도 없고 더러는 다듬이질을 하는 마음까지도 훤히 들을 수 있게 된다. 얼마 안 가 딸을 여의게 될 어머니의 방망이소리에는 시름 섞인 기쁨이 깃들고 시집가는 딸의 방망이소리에는 마냥 좋아 부푼 그리움이 튕긴다. 봄의 어스름 달밤에 듣는 다듬잇소리에는 나른한 여운이 있고 여름의 찌는 듯한 더위가 가시고 이슬로 젖은 밤에는 서늘한 기운이 돌며, 가을의 달밝은 밤에는 맑고 고왔다가, 겨울의 하늬바람이 속소리치는 밤에는 카랑카랑하다. 이렇게 사람 따라 철따라 매양 같은 귀에 같은 다듬잇돌에 같은 다듬잇방망이건만 달리 들리는 것은 듣는 마음이 다른 탓도 있을 것이다.

다듬이돌 쓰임새를 떠나서 한갓 조형으로서도 다듬잇돌이 아름다운 까닭은 바로 대물림해 쓰는 사람과 만드는 석공들의 허술하지 않은 마음쓰임 때문이다.

그런 다듬이질소리는 도시에서나 시골에서나 또 밤에나 낮에나 한해 열두 달 흔하디흔하게 들을 수 있었다. 다듬이질이 없는 날이란 마을에 초상이 났거나 이에 버금할 큰 불행이 있는 날뿐이었다. 마치 삶의 찬가와 같이 울리고 울렸던 다듬이질하는 방망이소리가 끊기게 되면서 나는 다듬잇돌을 눈여겨보는 버릇이 새로 생겼다.

다듬이질에 대한 정성과 마음쓰임이 어떠했던가는 다듬이질을 하다가 돌을 많이 치면 여자의 팔자가 거칠다는 속신이 있었던 것으로도 쉽게 짐작이 가는 일이다. 다듬이질에 대한 마음쓰임이 이렇고 보면 다듬잇돌을 만드는 석공들의 손길도 허술할 수가 없었을 것이다. 더구나 다듬잇돌이 한두 해 쓰고 버리는 것이 아니라 대물림을 해가며 쓰일 것임을 생각했다면 왼손에 쥔 정이나 바른손에 잡은 망치에나 절로 힘이 괴었을 일이다.

다듬잇돌이 어느 것이었거나 쓰임새를 떠나서 한갓 조형으로서도 아름다운 까닭이 바로 쓰는 사람이나 만드는 사람의 마음에 있었음을 알 수가 있겠다.

어김없고 그러면서 아름다운 물건이란 그것을 쓰는 사람들의 마음쓰임과 마음가짐 속에서 만들어져 나올 수 있다는 지극히 소박한 상식을 오늘날 제 구실을 저버려 쓸모가 없게 된, 그러면서도 지닌 바 아름다움에 티끌만한 변함도 없는 다듬잇돌에서 배운다. 참으로 어이없는 일이기는 하지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