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 관

조선시대의 여자들이 예식 때에 쓰던 관으로는 적관, 화관, 족두리들이 있었다. 적관은 왕비가 적의를 입었을 때 머리에 썼으며, 사대부의 부인들은 예장을 했을 때 화관 또는 족두리를 썼다.

여자들의 예장으로는 원삼과 당의와 활옷이 있었다. 양반집 여자들이 입을 수 있었던 원삼은 초록 원삼이었는데 여기에는 꽃무늬가 수놓여 있었다. 당의는 원삼이 위의를 갖춘 대례복인 데에 견주어 좀 간소화된 예복으로 평복 위에 덧입기도 했고 원삼 안에 받침옷으로 입기도 했다. 활옷은 양반집에서 가례 때에 입던 예복이었으나 조선시대 말기에는 서민들도 혼례 때에 한해서 입을 수가 있게 되었다......

화관 조선시대 여자들이 예식 때에 쓰던 관으로는 적관, 화관, 족두리 들이 있었다. 적관은 왕비가 적의를 입었을 때 머리에 썼으며, 사대부의 부인들은 예장을 했을 때 화관 또는 족두리를 썼다.

화관과 족두리는 신라 또는 고려 때부터 쓰여져 내려온 것으로 짐작되나 시대에 따라서 그 쓰임새가 조금씩 달랐다. 조선시대만 해도 영,정조 때에는 가체머리 곧 큰머리나 어여머리의 꾸밈새가 하도 호사스러워서 족두리를 권장한 일이 있었다. 또 화관은 화관대로 궁궐에서 잔치가 있을 때에 기녀나 춤을 추던 무녀 또는 악기를 다루던 여령들이 쓰기도 하였다........

족두리 조선시대만 해도 영.정조 때에는 가체머리 곧 큰머리나 어여머리의 꾸밈새가 하도 호사스러워서 족두리를 권장한 일이 있었다.

화관과 족두리는 조선시대 말까지 수요가 있어서 그것을 만드는 솜씨가 이어져올 수 있었다. 그러나 해방이 되어 서양 문물이 세차게 몰아닥쳐 신식 혼례가 유행하게 되고 도시의 예식장이 하나의 기업으로 성립하기에 이르자, 원삼이나 활옷에 화관이나 족두리를 쓰고 혼례를 치르는 신부란 가물에 콩나듯 한 세태가 되어버려 화관과 족두리를 만들던 사람들이 발을 붙일 데가 없어져버렸다......

신부가 평생에 하루 혼례 때에 원삼이나 활옷을 입고 연지, 곤지를 찍고 화관이나 족두리를 쓰게 되면 그것이 흘러내리지 않도록 첩지를 했다. 첩지도 궁중 두식의 일종으로서 왕비는 봉첩지를 했고 상궁들은 신분에 따라 금 또는 은으로 된 개구리 첩지를 썼다........

겨레의 전래된 오랜 멋과 솜씨를 이어나갈 수 있는 것은 정부도 아니고 문화재보호법도 아니며, 더구나 국한된 소수 호사가들의 반짝 하는 호기심은 더욱 아니다. 그것은 오직 민중의 생활 속에 폭넓고 깊게 뿌리를 내린 이해와 애정과 그로 말미암은 끊임없는 수요라는 것을, 이제는 역사의 유물로 변해가는 족두리가 우리들에게 말해주고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