죽고 사는 것은 빈 사이다병에서 흘러 나오던 그윽한 휘파람 소리 같다?

무심코 화장터곁을 지나다, 폐교된 지 오래된 시골학교 좁은 운동장을 쳐다보다 때로 잔치날 같은 환호소리를 듣거나 어디서 숨죽인 울음소리 끊일듯 이어지는 듯한 착각에 빠질 때가 있을 것이다.
그러나 돌아보면 아무도 없고 횡뎅그레하게 비어있는 골목길위로 휴지 섞인 바람만 이리저리 쓸리고 있다.

아는 사람은 진작에 다 알고 있다.
살아가면서 길길이 퍼붓는 눈발같이 귀싸대기를 치며 푹푹 발목까지 빠지는 그리움을. 차마 할 말이 진해 흉터처럼 쓰다듬지도 뫃하는 안타까움을. 뜨거운 그 한 마디 내뱉지 뫃하고 꾹꾹 눌러삼키며 먼 길 홀로 가야함을.

내게도 진작 하늘 길 열어 호올로 가신
여섯 살 터울, 꿈길에라도 친구 같던
목사 공부하던 고종형님이 계셨다.

[현종헌]님이 등록하신 글입니다.
------------------------------------------------------------
슬프게 살다 간 우리 외삼촌 이야기

........................... 빈 사 이 다 병
.............................................................................현 종 헌

부평 화장터에서 외삼촌은 병 하나 채울 만큼의 재가 되었다. 그야말로 하나 과장없이 빈 사이다병 하나만큼의 재가.......
메마른 바람만이 주위를 감돌 뿐 울어주는 사람은 없었다. 식구들은 25일 간의 피말리는 가해자와의 줄다리기에 지쳐 이젠 울 기력조차 없었다. 어머니만이 밑의 피붙이가 이 세상에서 자취를 감추었다는 슬픔을 가누지 못하고 몸 안에 남아 있던 마지막 신음까지 꺼내며 몸부림칠 따름이었다.
사라지는 외삼촌을 추모하는 식구래야 아버지, 어머니, 큰외삼촌, 그리고 나, 넷뿐이었다. 갓난애를 보내면서조차 많은 친지들이 모여 사방팔방 피눈물을 뿌려대는 제주도 사람들의 정서를 떠올리기엔 너무나 썰렁한 분위기였다.
좀 전에 휴게실에서 보았던 중년의 외국인 남자를 생각했다. 이국땅에서 외동딸을 잃고 화장해서 보내는 슬픔을 맥주 한 잔으로 가누고 있었다. 혼자. 쓸쓸히.
외삼촌은 이승을 떠나는 날까지 동서양의 문화 어느 한켠에도 편입되지 못한 채 이리저리 떠밀려 다니다가 사라져갔다. 한마디로 그는 떠돌이였고 주위에선 그림자조차 밟기 두려운 상대였다.
누군가 말했다. "거지가 달래 거지야, 가진 게 없으면 거지지." 나는 가만히 눈을 감았다. 그를 떠돌이라고 하기엔 지나치게 시적(詩的)이다. 그가 가까이 오는 걸 주위 사람들은 꺼려 했기에 오히려 전자의 표현이 옳을 성 싶었다.
제주도에서 상경한 이래 20 수년 간, 내가 어릴 적부터 보아온 그는 늘 후미진 계곡에서 방랑하는 지친 모습뿐이었다. 급변하는 현대사회의 생존경쟁 터에서는 어울리지 않는 외계인의 모습이었다.
교통사고 중환자실에 누운 채 산소호흡기로 잔명(殘命)이 이울어져가는 그의 모습을 보며 봄이면 꽃이 피고 겨울이면 성에가 돋는 자연의 순리를 생각했다. 그래, 외삼촌은 죽어야 했다. 절대자가 내린 어쩔수 없는 숙명일 테지. 그때 앞을 가린 눈물 위로 뭉게구름처럼 피어오르는 옛날의 추억을 자제할 수 없었다.
어렸을 적의 외삼촌은 나에게 푸근한 보금자리 같았다. 3살밖에 터울이 안지는 조카의 친구이자 앞뒷일 꼼꼼이 챙겨주는 자상한 후견인이었다. 부모님이 불화로 잠깐 떨어져 살던 시절 나는 늘 외톨이었다. 외삼촌은 그 심정을 알아 마을에서 마주칠 때마다 눈알사탕을 책보 속에 넣어 주었고, 외가집 가면 낚시하러 바닷가로 데려가 뗏목을 태워주곤 했다.
외삼촌은 어린 내가 보기에는 참으로 씩씩했다. 마을 앞바다에서 동료들과 파도타기 곡예라든가 잠수하여 주낙배 아래로 통과하기 시합할 땐 꼭 앞장 서서 시범을 보였다.
사이나 넣은 콩을 적당한 곳에 뿌려 눈에 보이는 꿩은 모조리 잡아들였고, 꿩사냥 왔던 미군들 총포에서 나온 탄피를 수거해 벌이는 탄피따먹기 놀이에선 동네 아이들 것을 깡그리 쓸어모았다.
축구도 잘 하여 면 단위 체육대회할 땐 청소년부 우리마을 대표로 나갔다. 나는 갈색 츄리닝에 그려진 등번호 0번을 지금도 잊을 수가 없다. 그는 위기에 처하면 골키퍼로, 득점해야겠다 싶으면 전진공격수로 일정한 포지션이 없이, 말하자면 팀을 주도하는 전천후 선수였다.
체육대회 날, 나는 농약 잘못 먹은 조랑말처럼 날뛰는 외삼촌의 위용을 보기 위하여 혼자 할머니 몰래 성산면 사무소 옆에 있는 동남초등학교 운동장을 찾았다. 먼저 나를 알아본 그는 선수용 사이다 한 병을 선뜻 챙겨 주었다.
순간 나는 감격해버렸다. 육지 손님을 맞을 때나 구경할 수 있는 상류사회의 최고급 음료수였기 때문이다. 빈 병을 손에 들고 있어도 부잣집 아이처럼 보았던 까닭에 감히 맛을 볼 수는 없고, 비록 병마개를 땄다 해도 보배처럼 감싸 안고 다니다가 햇볕을 받아 맛이 다 간 후에도 한모금씩 입 안에 털어넣고 보글거리던 기억을 우리 시대 사람이면 간직하고 있을 것이다.
나는 지금도 외삼촌 생각을 하면 먼저 한국경제 발전의 상징처럼 여겨지는 일곱 개 별이 그려진 사이다병이 그 위에 클로즈업되어 나타나곤 하는 환상을 본다.
그날, 외삼촌은 종횡무진 정말 용맹스러웠다. 양겨드랑이에 날개를 단 듯 상대방 태클을 용케 피하며 날쌔게 적진을 파고들어가 골 세례를 퍼부었다. 시골 체육대회 특유의 종종 벌어지는 마을 자존심을 건 응원단 간의 싸움과 선수들 간의 잦은 시비를 그는 골 득점으로 해결해버렸다.
벗들 간에 잘 어울리고 용기가 넘친 그였지만, 집안에선 9남매의 막내로서 부모로부터 물려받은 것이 없었던 처지여서 제주도에 눌러 앉아 빈둥거리기엔 답답했던 모양이었다. 방위를 제대하자마자 그 당시 유행처럼 번졌던 상경 대열에 끼었다. 그리고 서울 오류동 외곽지에서 고향사람이 경영하는 유리공장에 취직했다.
그길로 계속 초자(硝子) 계통의 회사에서 20여 년간을 떠돌아다녔다. 일가 친척이래야 생활형편 빠듯한 우리밖에 없었던 그에게 타향살이는 힘든 고행길이었으리라.
20대 후반에 잠깐 동거했던 여자 외엔 결혼도 못한 처지였다. 그 후 8년 여를 어디선가 숨어지내다가 --내 눈엔 그렇게 보였다-- 최근엔 부천시의 어느 가내공업 공장에서 기계를 잘못 다루어 한 손 잘리면서 다시 우리 곁으로 왔다.
서른 여덟 살, 갈 데까지 갔다. 보다못한 아버지가 막노동판의 경비로 취직시켜 주었다. 동네 여관의 구석방 하나를 월세로 얻어 겨우겨우 입에 풀칠해가던 터였다.
그가 죽고 난 다음 짐을 치우기 위해 그 방을 처음 방문했을 때 나는 경악했다. 1920, 30년대 궁핍을 주제로 한 사회주의 소설 속의 배경을 보는 듯한 느낌 때문이었다.
한켠에는 내게서 빌려간 일본 번역소설 "대망(大望)" 시리즈가 어지러이 널려져 있었다. 일본 경제계를 주름잡기까지의 빈털털이 청년의 성공담을 담은 그 소설을 읽으며 그는 무슨 생각을 했을까가 궁금하기도 했다.
중환자실에서 호흡이 가늘어지고 산소호흡기를 뗄 때까지 제주도에서 다녀간 일가친척 몇밖엔 내방객이라곤 없었다.
불꽃이 꺼져가는 시신을 붙들고 그들은 오열했다.
"이 병신같은 자식아, 제대로 장가 한번 못 가보고......"
"네 친구들은 집 한칸씩 장만하고 다들 잘 사는데......"
"너보다 못한 놈들도 살라고 용을 쓰는데......"
살아있는 사람들의 우월감은 대단했다. 거의 다 된 시신(腦死)을 증오하는 건 그들의 특권이었다. 그러나 외삼촌은 모든 게 귀찮다는 듯 이리저리 흔들어대는 손놀림에 가만히 몸을 맡겼다. 빈 사이다병이 바람에 휩쓸려 다니는 것 같았다.
숨이 끊어진 다음에도 그의 시신은 자유롭지가 못했다. 가해자와 몸값 흥정하느라 8월 한여름인데도 병원 영안실의 냉동실에서 25일 간을 갇혀 있어야 했다.
저쪽에선 떳떳하지 못하게 살다 간 서른 여덟 살 날품팔이 생애의 값을 깎아내리려 기썼고, 이쪽에선 시골출신답지 않게 인간생명의 존엄성과 호프만식 계산법을 근거로 보통사람들의 가격으로 맞섰다. 결국은 판매 유효기간이 지나 맛이 간 사이다처럼 헐값에 매듭지어졌다. 그러나 부평 화장터로 향하는 그의 시신은 사이다 병에 새겨진 일곱 개의 별보다 더 위품있어 보였다. 돈없으면 죽는 것까지도 자유롭지 못한 세상에서 시신 치우는 일이나마 주위 형제들에게 빚지지 않았다는 당당함마저 엿보였다.
나는 웬만해서 눈물 흘리지 않는 강심장을 지녔지만 부평 화장터에서 재로 화한 외삼촌의 뼈를 빻을 때는 도저히 참을 수가 없었다. 목줄기가 휘어지도록 울었다.
* * * *
뼛가루 담은 상자를 들고 제주도로 날아갔다. 부평 화장터에서 그냥 뿌려버리리라는 예상과는 달리 보수적인 그곳 어른들의 뜻에 따라 공동묘지 터에 상자를 묻고는 시멘트로 그 위를 씌웠다. 다른 처녀귀신과 짝을 이루어 사후(死後) 영혼결혼식까지 준비하고 있었다. 잔디 깎아줄 이 없는 외로운 묘를 바라보며 괜히 슬퍼서 나는 또한번 울었다.
며칠 후, 옛날 외삼촌이 기세좋게 날뛰던 동남초등학교 운동장을 찾았다. 줄어드는 시골학급 탓인지 내가 어른이 되어서인지 교정은 매우 협소해 보였다. 문득 운동장 구석에 나뒹구는 사이다 병조각들이 눈에 띄었다. 옛날에 외삼촌이 준 걸 먹고 내버렸는데, 누군가가 깨뜨려 그게 아직도 치워지지 않았나 보다며 잠시 착각했다.
나에게 아름다움과 가슴 미어지는 추억을 동시에 안겨다 준 외삼촌을 추모하고 있을 때 이따금 바람이 휘파람 소리를 내며 불어왔다. 사이다를 다 먹고 난 후 병꼭대기에 입술을 포개 바람을 불면 귀신 홀리듯이 흘러나오던 휘파람 소리같이.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