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전통 의식의 꽃 혼례
Korean Marriages - The Essence of Traditional Rituals
전통적인 혼례의 절차는 양가가 중매인을 통해 서로 의사를 조절하는 의혼(議婚)으로부터 시작된다. 의혼은 신랑집에서 혼인을 하고자 청하는 납채(納采), 신랑집에 택일단지를 보내는 연길(涓吉
), 신랑집에서 신부집에 예물을 보내는 송복(送服), 납폐서와 폐백을 신부집에 보내는 납폐(納幣) 의식의 순으로 진행된다.
의혼의 절차가 끝나면 혼례의 중심인 대례(大禮)를 행한다. 대례는 신랑이 신부집에 가서 행기를 드리는 전안지례(奠雁之禮), 초례 |
|
청에서 신랑과 신부가 맞절하며 상대방에게 백년해로를 서약하는 교배지례(交拜之禮), 한 표주박을 둘로 나눈 잔에 술을 나눠 마시며 부부의 화합을 기원하는 합근지례(合之禮), 신랑과 신부가 저녁에 꾸미는 신방(新房), 신랑다구기를 하는 동상례(東床禮)가 여기에 포함된다.
대례가 끝나면 신부가 신랑집에 와서 하는 의례인 후례(後禮)가 남는다. 신부가 신랑집에 오는 것을 우귀(于歸), 친영(親迎) 또는 신행(新行)이라고 하고, 신부가 시부모와 시가 사람들에게 절하는 현구례(見舅禮) 또는 폐백(幣帛), 신부가 시집와서 생활하다가 처음으로 친정에 가는 근친(覲親)의 순으로, 신부가 근친을 다녀와야 비로소 혼례가 끝난다
|
참고 : 브리태니커 백과사전
출처 : 코리아나 화장품 발행달력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