십이지이십팔숙경(十二支二十八宿鏡)ㆍ외

별자리와 12지신상이 있는 동경




동경 문양의 상징성은 문양별로 인물고사문계(人物古事文系)가 있는가 하면 봉황앵무문계(鳳凰鸚鵡文系), 화조문경계(花鳥文鏡系), 용어문경계(龍魚文鏡系), 서수문경계(瑞獸文鏡系), 보화당초문경계(寶花唐草文鏡系), 문자경계(文字鏡系), 한경계(漢鏡系), 화경계(和鏡系)로 살펴 볼 수 있을 것 같다.
사진의 동경은 문자경계 거북 형상의 꼭지(紐)를 중심으로 청룡 백호 주작 현무로 여겨지는 사신(四神)이 있다. 두 번째 원에는 팔괘와 팔방위를 새기고 그 바깥에는 자(子,쥐) 축(丑,소) 인(寅,호랑이) 묘(卯,토끼) 진(辰,용) 사(巳,뱀) 오(午,말) 미(未,양) 신(申,원숭이) 유(酉,닭) 술(戌,개) 해(亥,돼지) 12가지 동물상이 새겨져 있다. 그다음에는 28수 별자리와 24절기를 전서체로 나타 내었다.
이 동경은 고대의 종교관과 문자 뿐만 아니라 천문 지식과 공학 기술까지 살펴볼 수 있는 귀중한 자료이다. 12지신상은 중국 은나라에서 비롯하여 우리나라 통일신라시대 능묘 호석(護石)에도 나타나는데 경주 괘릉이나 김유신묘에서도 볼 수 있다. 이 12지신상은 고려 왕릉으로 계승되고 형식적인 변화를 거쳐 고분벽화,불구,석관,동경 등으로 그 사용범위가 확대되어 조선시대까지 계속되는 것을 볼 수 있다.



팔괘문이 있는 또 하나의 동경은 처음 보았을 때 깜짝 놀랐다. 꼭지를 따라 돌아간 네 마리 사신 중 하단의 하나가 눈에 익어 자세히 보니 고구려 강서대묘 현실 북벽에 그려진 현무도와 똑 같았기 때문이다. 비록 부드럽고 율동적인 선조로서 처리되었으나, 머리를 뒤로 돌린 거북과 마주보고 물려고 하는 뱀이 어우러져 용맹스럽고 신령스런 모습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